제4화. 좋은 집을 고르는 셀프 체크리스트 - AMORE STORIES
#김연주 님
2016.07.26
18 LIKE
1,196 VIEW
  • 메일 공유
  • https://stories.amorepacific.com/%ec%a0%9c4%ed%99%94-%ec%a2%8b%ec%9d%80-%ec%a7%91%ec%9d%84-%ea%b3%a0%eb%a5%b4%eb%8a%94-%ec%85%80%ed%94%84-%ec%b2%b4%ed%81%ac%eb%a6%ac%ec%8a%a4%ed%8a%b8

제4화. 좋은 집을 고르는 셀프 체크리스트

Columnist
4기

아모레퍼시픽 사우들이 직접 작성한 칼럼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똑똑한 부동산 생활정보 Tip

제4화. 좋은 집을 고르는 셀프 체크리스트

칼럼니스트
아모레퍼시픽 리스크관리사무국 김연주 님

무더운 여름 건강히 보내고 계시죠? 지난 6월 자산관리팀에서 리스크관리사무국으로 이동했지만, 칼럼니스트 활동을 통해 제가 알고 있는 정보들을 쭉~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집이라는 곳은 우리에게 어떤 공간일까요? 휴식의 공간이자 가족들과 나를 보호해 주며 행복을 키워나가는 공간일 것입니다. 대부분 시간을 밖에서 보내는 직장인에게도 집이란 아늑한 보금자리와 같습니다. 그렇다면 좋은 집을 구하는 조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오늘은 좋은 집을 구하는 셀프 체크리스트를 하나씩 알려드리겠습니다.


※ 참고: 이번 칼럼은 통상적인 주거형태인 아파트를 기준으로 작성하였기 때문에 다가구주택과 단독주택에 대해서는 제외하였습니다.

# 좋은 입지가 생명

<셀프 체크리스트>

1.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이 가까운가?
2. 환승을 해야 한다면 환승역에서 환승시간은 얼마나 걸리는가?
3. 출퇴근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지는 않은가?

집을 구할 때 매매를 전제조건으로 할 것인가 전세나 월세를 전제조건으로 할 것인가에 따라서 기준은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매매 같은 경우는 시세차익을 얻을 목적이기 때문에 회사에서 조금 떨어져서 출퇴근 시간이 다소 소요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전세나 월세의 경우에는 출퇴근 시간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30분 내외의 출퇴근 시간이 적당한 시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환승을 한다면 환승 시간, 도보 이동 거리, 환승역의 혼잡성을 체크해 봐야 합니다. 지하철을 갈아타지 않고 30분을 가는 것보다 지하철을 15분가량 타도 환승 시간이 10분 걸리고 혼잡하다면, 그 피로도는 훨씬 클 것이기 때문입니다.

# 건물 구조가 생활환경 좌우

<셀프 체크리스트>

1. 햇빛은 잘 들어오는가?
2. 환기가 잘되는가?
3. 외풍이 심하지 않은가?
4. 층간소음이 심하지 않은가?
5. 주차공간은 확보되는가?

위 내용은 주거환경을 고려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입니다. 아무리 입지가 좋고 회사와 가까워도 시끄럽고 덥고 춥다면 일상 자체가 짜증이 날 것입니다. 집을 고를 때 직접 찾아가서 체크하는 것만큼 좋은 방법은 없습니다. 하지만 시간에 따라 소음, 일조량, 주차공간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을 체감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접 현장에 가지 않아도 건물 특성에 따라 점검할 수 있는 팁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 아파트 구조를 결정하는 판상형과 타워형(탑상형)

흔히, 햇빛은 남향 건물이, 환기는 맞통풍이 되는 건물이 좋다고 하는데요. 환기와 통풍을 결정하는 아파트 구조에 대해 알아볼까요?. 아파트에 관해 이야기하다 보면 판상형과 타워형(탑상형)이란 이야기를 종종 듣게 됩니다.

구분 판상형 타워형(탑상형)
장점 1. 건물을 남향으로 배치하기 쉬어 채광과 통풍이 우수하다
2. 건축비가 저렴하다
1. 다양한 디자인(Y,ㅁ,+자 모양) 설계 가능하여 미관상 좋다
2. 여러방향으로 설계가 가능해 조망이 우수하다
단점 1. 건물이 성냥갑처럼 단조롭다
2. 뒷동은 일조권, 조망권 확보가 어렵다
1. 용적률이 높아 대부분 고층이다
2. 맞통풍이 되지 않아 통풍이나 환기가 되지 않는다
3. 건축비가 비싸다
4. 화재에 판상형보다 더 취약하다
실제 모습
건물 구조는 판상형과 타워형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가운데는 타워형으로 짓고 양 날개를 판상형으로 짓는 복합형도 나왔습니다. 한때는 미관상의 이유로 타워형이 선호되었으나 최근에는 실용적인 이유로 판상형이 다시 인기를 얻고있는 추세입니다.

@ 아파트 분양광고에서 흔히 이야기 하는 2Bay, 3Bay, 4Bay

Bay(베이)란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공간 중 햇빛이 들어오는 공간을 말합니다. 판상형 건물에서는 발코니를 포함한 전면에서 햇빛을 받을 수 있는 창문이 있는 공간들의 면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르실 것 같은데요. 그림을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 2Bay(베이) 구조

2Bay 구조는 햇빛이 들어오는 방향(노란색 표시)에 거실과 방이 1개 있는 구조로 집이 넓게 보이는 장점이 있지만, 현관문에서 집 내부가 바로 보이기 때문에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는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나머지 방들이 조금 어두울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 3 Bay(베이) 구조

3Bay구조는 햇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거실과 방이 2개가 있는 구조로 현관 입구에서 거실이 바로 보이지 않아 사생활보호가 잘된다는 장점과 2개의 방에 햇빛이 들어온다는 장점이 있어서 주로 3Bay 구조를 선호합니다.

** 4Bay(베이) 구조

4Bay구조는 거실과 방 3개가 햇빛이 들어오는 구조로 햇빛이 잘 들어서 통풍이 잘되고 조망권이 좋다는 장점과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난방비를 아낄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집의 구조가 길쭉하게 생겨서 집이 작게 느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조금 넓은 평수의 건물에 적합해 많이 활용되지는 않는 구조입니다.

# 층간소음은 건축구조에 따른 문제?

층간소음은 이웃 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요. 이는 위층집에 생활습관에 따른 문제가 크지만, 건축구조에 따른 문제도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벽식 구조이냐, 기둥식 구조이냐 따라 층간 소음이 크게 다르다고 합니다. 벽식구조가 건축비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대부분 아파트가 벽식 구조를 선호합니다. 층간 소음에 예민하신 분들은 기둥식 구조의 아파트를 찾아보거나 중간에 벽이 있는 구조를 선호하면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2005년~2010년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층간 소음 기준이 완화된 시기에 지어진 건물이기 때문에 소음이 심할 수 있으니 꼭 확인해 보세요. 그리고 집을 둘러볼 때 거실에서 바닥을 발로 강하게 두드려 보세요. 집에 공명이 생기는 집은 층간 소음이 심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외 위층집의 등기부 등본을 확인해 보던가(소유주가 젊은 부부인 경우 아이가 있을 확률이 크기 때문에) 경비실에 물어봐서 아이들이 있는 경우는 피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겠습니다.

# 그 외 셀프 체크리스트

@ 건물확인

1. 누수흔적(곰팡이)은 없는가?
2. 콘센트, 전등, 후드, 변기, 샤워기 등 빌트인 시설이 파손된 것은 없는가?
3. 수도나 배수는 잘되는가?
4. 방충망이랑 방범창은 잘 되어있는가?
5. 에어컨을 설치할 수 있는 실외기 공간 또는 실외기와 에어컨을 연결할 공간이 있는가?

@ 주변환경

1. 인근에 공장이나 악취시설은 없는가?
2. 기차선로나 도로가 인근에 있어 소음이 심하지 않은가?(이것은 야간에 확인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3. 학교, 대형마트, 병원, 공원과 같은 편의시설은 확보가 되었는가?
4. 냉장고, 침대, 옷장 등과 같은 것들이 들어갈 만한 공간과 천고(천장높이)는 확보가 되었는가?

집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안은 수없이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위와 같이 셀프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하나씩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팁을 더 드리자면, 시간에 따라 환경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오전과 저녁으로 나눠서 2번을 체크해야 더욱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차공간의 경우 평일 밤 12시가 지나서 꼭 확인해 봐야지 최악(?)의 주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듯이 말입니다. 사우 분들도 꼼꼼한 확인으로 아늑한 나만의 공간을 얻는 데 성공하시길 바라며 이번 칼럼을 마칩니다.

  • 좋아해

    18
  • 추천해

    0
  • 칭찬해

    0
  • 응원해

    0
  • 후속기사 강추

    0
TOP

Follow us:

FB TW 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