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그룹 중국 혜초들의 칼럼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중국 도시 혜초로 중국 3대 화로 중 으뜸이라 할 만큼 덥고 습한 충칭(重庆)으로 파견 나온 이중섭입니다. 최근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약간 주춤 하지만 그래도 항상 괄목할만한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을 보이며 중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곳이 바로 충칭입니다.
지역특징, 기후, 사람 사는 모습, 등등 보여 드리고 싶고 들려 드리고 싶은 것이 너무나도 많아 무엇부터 보여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충칭은 구릉지역이 많아 언덕이나 산을 깎아 만든 주택지가 많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지역의 2호선 리즈바(李子坝)라는 전철역은 15층 아파트의 정 중앙 6층에 위치해 있어 전철이 건물 중앙을 뚫고 지나가는 진기한 장면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높은 언덕이 많아 대나무 지게를 사용해 짐을 가지고 언덕을 대신 올라가 주는 “빵빵”(棒棒) 이라는 전문 짐꾼 아저씨들도 있습니다. 맵기로 유명한 훠궈 말고 충칭에서만 경험 할 수 있는 아주 진귀한 장면들이죠.
하지만 제가 이곳에 와서 가장 크게 놀란 것은 기존의 드라마, K-pop 스타로 대표 되었던 한류가 한국식(韩式)’이라는 이름을 달고 각 산업으로 전파되어 중국인들의 생활 속으로 퍼져나가고 있는 한류 season II 를 확인 했다는 것입니다.
아파트 정 중앙을 지나가는 전철의 모습 / (우) "빵빵"이라 불리는 전문 짐꾼 아저씨
1. 한국식(韩式)성형의 메카 충칭
작년 한국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가 중국에서 큰 인기를 얻으면서 드라마 주인공의 얼굴, 패션, 심지어 그들이 먹는 간식까지 중국에서 빅 이슈가 되었던 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입니다. 이곳 충칭도 마찬가지 인데요. 충칭에는 아직 한국인이 많지 않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어느 정도의 신비스러움이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인지 한국식 아름다움으로 광고를 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되고 있고, 그 방법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곳이 바로 동최대 성형병원입니다. 이 곳 최대 상권인 제팡베이에 위치한 동최대 성형병원은 충칭에서 성형 및 시술을 시작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고 성수기간 11월부터 2월 사이 12백만 위엔(한화 약 20억원)의 월 평균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턱, 가슴, 얼굴성형부터 보톡스. 필러, 치아라미네이팅까지, 나아가 성형외과 전용 화장품까지 사업 확장을 준비중인 대형병원입니다.
조선시대 기생 '황진이'를 모티브로 2013년 본격적인 성형사업을 시작한 "진이성형병원은 동최대 보다 후발주자이지만 병원 규모나 고객수면에서 동최대 병원을 앞지르고 있습니다. 충칭장베이 국제공항에 대형 광고를 낼 정도로 성수기 월 매출 10백만 위엔(한화 약 18억원)을 유지하며 매월 광고비만으로 4백만 위엔(약 7.8억 원)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시술가는 필러 1CC를 기준으로 국내보다는 높지 않으나 성형의 경우 천차만별이며 특히 진이성형의 경우 VIP 를 위한 별도의 건물이 있어 등록부터 퇴원까지 원스톱으로 진행되고 성수기 프로모션이나 11월 11일 싱글데이의 경우 대규모 시술 쿠폰 증정 프로모션도 진행하여 큰 매출효과를 보고 있다고 합니다. 그 외 오주성형, BCC, Charm + 등 대형 병원들이 주요 핵심 상권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병원간의 경쟁도 치열하여 지역별/구역별로 지하철 및 버스 노선 쉘터/랩핑 광고를 집중적으로 진행하여 어디에서나 고객들이 쉽게 광고에 노출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충칭의 성형외과 시장 규모는 약 2천억 정도 된다고 합니다. 성형이나 시술을 받는 고객은 전체 인구의 10%인 약 300만 명 정도라고 합니다. 충칭의 인구가 34백만 명인 것을 감안한다면 국내보다는 작은 시장 이지만 충칭의 화장품 시장 규모가 약 6천억 정도인 것을 생각해 보면 상당한 규모인 듯 합니다. 이들 병원의 주 고객층은 다양합니다. 20대부터 50대까지로 주로 사업을 하거나 자영업을 하고 있는 고객이 대부분이고 직장인들이나 대학생도 있습니다. 직장인의 경우 대부분 도시에서 태어나 거주하는 월광족(月光族-미래에 대한 투자 없이 그 달 월급을 그 달 다 써버리며 현재를 즐기는 세대, 일부는 부모세대가 금전적 여유가 있는 경우이고 일부는 급여 수준이 월 평균 4천 위엔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저축을 포기한 경우)들이고 대학생의 경우 부모세대가 돈이 많아 해외 유학 및 졸업 이후에 취업을 위하여 성형을 기본적으로 시켜 주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여기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야간업소'에서 일하는 여성들이 전체 고객의 30% 이상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상하이나 베이징 등의 1성급 도시들이 소비성향이나 구매력적인 면에서 충칭보다 월등히 앞서 있는데 유독 충칭에 한국식 성형병원이 성업을 하고 이곳 저곳 광고를 하며 한국식 성형에 관심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휴온스는 왜 필러 제품의 로드쇼를 충칭에서 가장 먼저 시작했을까요?
충칭은 현재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중국 내 GRDP(지역내총생산)가 매년 10% 이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에서도 서남권 개발을 위하여 청두와충칭에 사회간접자본 투자나 소비 상권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고객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상하이나 베이징처럼 충칭의 여성들은 성형에 대한 인식이 성숙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시는 계속 성장하고 가처분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성형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화장품 시장이 성숙되면 화장품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고민과 성형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고민들의 경계가 모호해집니다. 화장품으로 해결 할 수 있도록 성형과 화장품의 크로스 오버된 제품들이 쏟아져 나와 쁘띠 성형과 화장품의 경계가 모호해 지게 됩니다. 그러나 아직 충칭 여성의 경우 "화장품은 화장품이고, 성형은 성형이다" 라는 인식이 있어 화장품에 대한 개념이 성숙되지 않는 상황에서 경제 성장으로 인하여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니 화장품 보다는 확실한 효과를 주는 성형으로 고객들이 몰리고 있는 상황인 것입니다. 게다가 한류의 영향으로 안전성적인 측면에서 신뢰도가 낮은 중국인 의사 보다 세계최고 수준의 한국인 의사에게 시술 받기를 원해 한식 성형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아울러 충칭에는 상하이처럼 한국인이 많지 않아 한국에 대한 환상도 한식 성형이 붐을 일으키게 된데 어느 정도 일조를 했다고 합니다.
2. 한국식(韩式) 웨딩 사진
3. 한국식(韩式)과 타 트랜드와의 Hybrid
한국식 10원샵 '명동우환' 매장 모습과 홈페이지 화면
4. 한류 Season II. 더 늦어지기 전에…
좋아해
12추천해
0칭찬해
0응원해
0후속기사 강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