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민족의 문화가 과연 무엇일까요? 한 해 동안 문화에 대한 칼럼을 쓰면서도 항상 똑같은 질문을 반복했던 것 같습니다. 다만, 사람들 사이의 소통과 연결을 맺어주는 가장 핵심이 글자와 언어이고, 이것이 한 민족 문화의 결정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마지막 화에서는 중국의 한자와 언어에 대한 내용을 적어볼까 합니다.
# 한자는 음(音), 형(形), 의(义)의 결합체
요즘 많은 사우 분들이 중국어 공부를 하면서 한자가 너무 많고 어렵다는 말을 많이 합니다. 물론 약 10만 개에 달하는 한자는 한글만큼 간편하고 쉽지 않은 건 사실입니다. 당연히 이 많은 한자를 전부 알고 있는 중국 사람도 없습니다.
하지만 한자를 조금만 더 들여다보고 이해를 한다면 더욱 쉽게 기억하고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상주(商周)시기 갑골문(甲骨文)에서 시작된 한자는 가장 기본적으로 사물의 형태를 반영한 상형(象形)문자입니다. 일(日), 월(月), 산(山), 수(水) 등을 예를 들 수 있는데요. 이런 글자들은 그 모양을 연상하면서 기억해보는 건 어떨까요?
갑골문(甲骨文)
인류의 역사가 발전하면서 더는 이러한 간단한 모양으로 모든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요즘 대부분 한자는 형태와 음, 의미를 모두 담은 한 개의 한자가 한 단어와 같은 심지어는 철학적 의미까지 담은 형태로, 여러 글자의 조합으로 변천하게 되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이기다"를 의미하는 赢(잉)은 5개의 한자로 이루어진 글자입니다.
★ 죽음을 뜻하는 亡(왕)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항상 위기의식을 가져야 하며
★ 입 구자 口(커우)는 뛰어난 소통 능력을 갖춰야 하고,
★ 시간을 의미하는 月(웨)는 시간을 소중히 다룰 줄 알아야 하며,
★ 재물을 뜻하는 贝(뻬이)(조개껍데기의 상형글자로 과거에 화폐로 사용되었던 적이 있어 현재는 재물, 보배를 뜻함)는 적당한 재물이 있어야 하고, 또 이를 적절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하며,
★ 평범함을 뜻하는 凡(판)은 어떤 상황에서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 평상심을 가져야 한다는 뜻입니다.
어떤 일에서 승리를 거두고 절대적인 승자가 되려면 위 5가지를 모두 가져야 한다는 뜻이지요. 한 글자에 불과한데 참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죠?
이 외에도 충성의 忠(중)자는 충성심은 마음(心) 속(中)에서 우러러 나와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고, '경계하다'의 惕(티)자는 마음 심(忄= 心)과 쉬울 이(易)자의 결합으로 마음(心)을 쉽게(易) 얻을수록 경계를 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렇게 어렵고 복잡한 한자일수록 그 속에 담겨 있는 의미를 잘 들여다 본다면, 조금은 쉽게 기억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럼 언어의 기본인 한자에 대해 알아봤으니 단어나 구절에 대해 한번 살펴볼까요?
# 운율을 중요시하라
중국 사람들은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운율을 중요시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그래서 평소 말을 할 때도 사자성어를 많이 사용하고, 글자를 반복하거나 비슷한 음을 가진 글자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예를 들면, 기쁘다고 할 때 开心(카이씬)을 开开心心(카이카이씬씬), 우물쭈물하다 할 때 吞吐(툰투)를 吞吞吐吐(툰툰투투), 위아래 전체, 모두를 의미하는 上下(쌍쌰)는 上上下下(쌍쌍쌰쌰), 이런 식으로 글자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을 좋아한답니다.
이렇게 반복을 하게 되면 약간의 강조의 의미도 있지요. 한국어에서 빨리 와 빨리빨리 와 조금은 비슷하다고 해도 될 듯 하네요.
또, 계획은 영원히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뜻의 计划不如变化快(찌화 부루 뻰화 콰이)라는 문구도 많이 사용하는데요. 계획의 획(划)자와 변화의 화(化)자가 글자는 다르지만 발음이 같은 것을 이용한 것이지요.
전국시대에서부터 전해져 내려온 狐假虎威(후쟈후웨이)라는 사자성어도 있습니다.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다는 뜻으로 남의 세력을 이용하여 허세를 부린다는 의미인데요. 여기서 여우 호(狐)자와 범 호(虎)자는 성조만 다를 뿐 발음이 같습니다.
혹시 이 글을 보면서 중국 사람들이 얼마나 한자를 좋아하는지 느끼셨나요? 한자는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진 중국 역사와 문화의 결정체로 중국 사람들의 긍지와 자랑이랍니다.
여기서 잠깐, 몇 가지 재미있는 단어들도 소개할게요. 첫 번째로 乌鸦嘴(우야쭈이)를 예로 들 수 있는데요. 아마 번역기를 돌리면 까마귀 주둥이로 나올 텐데요. 중국어에 이 단어는 진짜 까마귀 주둥이를 가리킬 수도 있지만, 보통은 방정맞은 입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예로부터 중국에서 까마귀는 불운을 상징하여,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해 좋지 않게 이야기를 하는 사람에게 이런 표현을 사용한답니다. 또 电灯泡(뗀떵포우)라는 단어도 있는데요. 전구를 가리키기도 하지만 연인 사이의 데이트를 방해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합니다. 뭔가 확 와 닿지 않나요?
# 마지막 칼럼을 마치며…
이번 화를 통해서 중국어가 어렵고 힘들기만 한 언어가 아니라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그동안 칼럼을 쓰면서 사우 분들이 중국에 대해 조금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중국의 문화를 우리 주변의 사소한 일상에서 찾아보려 했습니다.
사우 여러분 2016년 마무리 잘하시고, 2017년에는 중국 고객들에게 한 발자국 더 다가갈 수 있는 한 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