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있었던 추석 명절, 여러분들은 어떻게 보내셨나요? 한국에서는 추석에 온 가족이 예쁜 한복을 입고, 고향에 계시는 할머니, 할아버지 뵈러 가죠? 조상 어르신을 뵙기 위해 벌초와 성묘도 하고, 맛나는 송편도 드시면서 즐거운 명절을 보내시곤 하죠. 그렇다면 중국에서는 추석을 어떻게 보낼까요? 또 명절에 어떤 독특한 풍습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중추절(中秋节)
음력 8월 15일은 중국에서도 아주 중요한 추석 명절입니다. 중추절(中秋节), 월석(月夕) 또는 단원절(团圆节)이라고도 불리는데요. 머나먼 당나라 때부터 시작된 명절이랍니다. 참고로 중국에서는 중추절에 달의 신(月神)에게 제를 지내고(祭月), 밝고 둥근 달을 감상하고(赏月), 온 가족이 모여 동글동글 달과 닮은 월병(月饼)을 먹으며 계화주(桂花酒)를 마시는 풍습이 있습니다.
월병(月饼)
제월식(祭月)
달 구경(赏月)
계화주(桂花酒)
둥글고 밝은 보름달은 중국 사람들에게 아름다운 야경을 선사할 뿐 아니라, 이곳 저곳 떨어져 지내던 가족들이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일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흩어졌다가 다시 모인다는 뜻을 담은 단원절(团圆节)이란 이름도 가지게 된 것입니다. 때문에 고소한 견과류나 달콤한 팥이 들어있는 월병은 중국인들에게 있어 그냥 맛있는 디저트가 아니라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만남의 즐거움을 가득 담은 명절 음식입니다.
아시다시피 중국은 56개 민족이 함께 살고 있는 나라인 만큼 다양한 명절 풍습도 전해지고 있답니다. 위에 설명 드린 내용은 전체 인구의 90%이상인 한족들의 중추절 풍습이고, 그렇다면 다른 민족들은 또 어떤 재미있는 추석 풍습이 있는지 더 알아보겠습니다.
@ 소수민족들의 독특한 풍습
북쪽 내몽고에 살고 있는 몽고족(蒙古族)은 말 위에 살고 있는 민족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말 타기를 즐기는데요. 추석 저녁이 되면 드넓은 초원에서 말을 타며, 밤새 달을 쫓는(追月) 유희를 한다고 합니다. 서장(西藏,티베트)에 살고 있는 장족(藏族)의 젊은이들과 어린아이들은 강물에 비친 달을 건져내는(寻月) 풍습을 가지고 있답니다.
운남성 부근에 살고 있는 더앙족(德昂族)은 조금 더 특별한데요. 추석 달 밝은 밤이 되면 후루성(葫芦笙)이란 전통 악기 소리가 여기저기에서 들려오는데, 이는 젊은 남녀가 서로의 마음을 전하는 소리라고 하네요. 해서 이날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어른들께 인사하고 약혼까지 하는 커플들도 많다고 합니다. 뭔가 재미있고 로맨틱한 청혼식인 것 같네요.
몽고족의 달 쫓기(追月)
후루성(葫芦笙)
# 红红火火(시끌벅적)하게 일년을 보내다
평소 중국에 가보신 분들은 중국 사람들은 참 빨간색을 좋아한다고 말합니다. 춘절, 즉 음력 정월 초하루, 설날에 중국에 가보시면 대문에는 빨간색의 춘렌(春联)을 붙이고, 처마 밑에도 빨간색의 등불(灯笼)을 걸고, 심지어 세배 돈을 빨간색 봉투(红包)에 넣어서 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정말 중국 사람들이 빨간색을 너무나도 좋아해서 이러는 걸까요?
중국 전설을 들여다 보면, 새해가 되면 찾아오는 괴물이 있었는데 이 괴물은 불의 색인 빨간색과 폭발음을 무서워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집안 곳곳을 빨간색으로 장식하고, 폭죽을 터뜨려 이 괴물을 쫓아냈다고 하네요.
현대 사회에 와서도 이와 같은 풍습을 이어 가는 이유는 단순히 전통을 이어가는 것도 있지만 빨간색에 대한 중국인들의 인식이 남다르기 때문입니다. 중국 사람들에게 있어 빨간색은 만물의 근원인 태양을 상징하고, 활활 타오르는 불의 색으로써 이 불길처럼 집안에 좋은 일들이 많이 일어나고, 재물이 많이 모여 부유해지는 행운의 색이랍니다. 해서 한 해를 시작하는 설날이 되면 나쁜 기운은 물리치고, 한 해 동안 좋은 일만 가득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이런 빨간색의 소품들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음력 설 또는 춘절은 중국에서 가장 성대하게 보내는 명절입니다. '설을 쇠다'를 중국어로 궈넨(过年)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단순히 설날 단 하루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준비과정에서부터 정월 대보름까지 전, 후로 거의 한달 가까이를 명절을 보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럼 어떤 주요 행사들이 있을까요?
우선 음력 12월 24일에는 집안 대청소를 합니다. 이를 싸우천(扫尘)이라고 하는데요. 물론 집안에 먼지나 더러운 것을 다 치우고 깨끗하게 새해를 맞이하자는 의미입니다. 여기에 한가지 더 깊은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먼지의 천(尘)자는 오래 묵다의 천(陈)과 발음이 같습니다. 때문에 싸우천(扫尘)은 물리적으로 먼지를 털어버린다는 의미도 있지만, 오래된 나쁜 기운들을 쓸어버리고 새해의 좋은 기운을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는 의미도 있답니다.
다음은 12월 30일. 한 해의 마지막 날에는 대문에 춘렌(春联)을 붙입니다. 축복과 기원의 의미를 담은 문구를 붉은 종이에 적어서 붙이는 것을 말합니다. 혹시 복(福)자를 거꾸로 붙인 경우를 본적이 있나요? 주인이 실수로 잘못 붙인 것이 아닌가 싶었을 텐데요. 사실은 일부러 거꾸로 붙인 겁니다. 이는 거꾸로의 따우(倒)자와 도착하다의 따우(到)가 발음이 같기 때문에 복이 이 집에 도착하라는 의미를 담아서 거꾸로 붙이는 거랍니다.
그리고 이날 저녁에는 온 가족이 모여 저녁 밥을 아주 천천히 늦게까지 먹고, 불을 밝게 키고, 밤을 새면서 새해의 첫날을 기다립니다. 이를 서우쑤이(守岁)라고 하는데요. 시간을 소중하게 여기자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설날 당일은 친척과 이웃을 찾아 뵙고 인사를 하고, 축복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어린 아이들은 세배를 하고 세뱃돈을 받는 등 한국과 아주 비슷합니다. 과거에는 악귀들이 깜짝 놀라 물러가게 한다는 의미로 아침 일찍 대문 앞에서 폭죽을 터뜨렸었는데 요즘은 소음과 공기 오염, 화재 등 이슈로 나라에서 금지하고 있어 이 풍습은 점차 사라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월 대보름은 웬쑈제(元宵节)라고 합니다. 이날은 웬쑈(元宵)라는 전통 음식을 먹는 날입니다. 중국 남부직역에서는 탕웬(汤圆)이라고도 부르는데, 보름달처럼 동글동글한 떡 속에 깨나 잣, 땅콩이 들어 있어 달콤하면서 고소한 음식입니다. 전통적으로는 팔팔 끓여서 국물이 있는 형태로 조리를 하는 것인데요. 기호에 따라 튀기거나 구워서 먹기도 한답니다.
# 5화를 마치며…
표현 방식은 다르지만 명절에 서로에 대한 축복과 기쁨은 그 어떤 나라, 어떤 문화이든 다 똑 같은 것 같습니다. 새해를 시작하며 뭔가 새로운 것에 도전해보고자 이 칼럼을 시작한 것이 엊그저께 같은데 벌써 선선한 추수의 계절이 왔네요. 여러분들도 얼마 남지 않은 2016년 마무리 잘 하시고, 매일 매일이 명절과 같이 즐거움이 가득하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