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화. 꿀벌이 사라진다? - AMORE STORIES
#유세진 님
2015.10.02
10 LIKE
219 VIEW
  • 메일 공유
  • https://stories.amorepacific.com/%ec%a0%9c4%ed%99%94-%ea%bf%80%eb%b2%8c%ec%9d%b4-%ec%82%ac%eb%9d%bc%ec%a7%84%eb%8b%a4

제4화. 꿀벌이 사라진다?

STAFF
COLUMN

아모레퍼시픽그룹 사우들이 직접 작성한 칼럼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지속가능한 더 아리따운 세상

제4화. 꿀벌이 사라진다?

칼럼니스트
아모레퍼시픽 소재연구팀 유세진 님

산과 들에 가면 흔하게 볼 수 있는게 꿀벌입니다. 그런데 만약 꿀벌이 사라지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아이슈타인은 "만약 지구상에서 꿀벌이 사라지면 동식물이 잇달아 사라지고 결국 4년 안에 인간도 생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를 했습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식물의 3/1이 꽃가루를 옮겨 수분을 해주는 충매화 역할을 하는 곤충의 도움을 받 고 있는데요. 그 80%가 꿀벌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우리 식탁의 숨은 공로자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사라진다(ScienceTimes)


그런데 이 경고가 곧 현실이 될 수 있습니다. 이상기온과 전자파로 지구상의 꿀벌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꿀벌이 사라지면 꿀벌에 의존하던 식물들은 더 이상 열매를 맺지 못합니다. 이 열매들이 우리가 먹는 식량이 되기 때문에 인류의 식량문제가 심각해 질 것 입니다. 또한 수만 가지의 식물들이 멸종하고 생태계 교란은 더욱 가속화 될 것입니다. 벌을 구하는 것이 인류를 구하는 위대한 일이 될 것입니다.

# 미래의 화두 '생태학'

지난 2007년 미래학자 엘빈 토플러와 부인인 하이디 토플러가 서강대 손병두 총장과 대담을 했습니다. 이 대담 에서 한국을 이끌 산업의 핵심을 이렇게 요약했습니다. "IT 다음으로 생태학, 복지·건강이 다가올 시대의 화두입니다" 미래를 고민하는 사람들은 생태의 가치와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총/균/쇠의 저자인 재러드 다이아몬드는 '문명의 붕괴'에는 어김없이 환경파괴를 저지른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간파했습니다.
  • 손병두 서강대 총장과 엘벤 토플러 부부 / 자료 출처 : 조선일보


환경문제가 심각한 국제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요즘세계 3대 환경협약 가운데 하나인 제 12차 생물다양성협약(UNCBD) 당사국총회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특히 한국이 중요한 국제적 환경회의를 주최했다는 것은 상징적으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지난해 강원도 평창에서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부속의정서인 제1차 나고야의정서 당사국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은 그 자리에서 한국 기업을 대표로 자사의 생물다양성의 정책적 실천과 토종 흰감국의 복원을 이용한 제품 개발 사례를 발표했습니다.
  •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된 제1차 나고야의정서 당사국회의


@ 짚고 넘어가기!
1. 나고야의정서란? 2010년 일본 나고야에서 채택된 생물다양성 협약의 세가지 목표 중 '공정한 이익 공유'를 달성하기 위한 규범을 규정한 국제적 구속력을 가진 문서입니다.

2. 생물다양성이란? 생물학적인 다양성(다양성(Biological Diversity)의 약자입니다. 생물다양성은 1)생태계 다양성, 2)종 다양성, 3)유전자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1)생태계 다양성은 사막, 삼림지, 습지대, 산호수, 강, 농경기 등 서식환경에 대한 다양성을 뜻하고, 2)종 다양성은 식물종, 동물종, 미생종과 같은 다양한 생물의 분류를, 3)유전자 다양성은 종(種)내에서의 변이 즉, 사람 눈동자 색이 여러가지로 나뉘는 것 등을 말합니다.

3.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on Biological Diversity,CBD)이란? 1992년 리우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정상회의(UNCED)에서 생물 종(種) 감소의 가속화로 종 다양성 보전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생물다양성협약(CBD)이 채택 되었습니다. 생물다양성의 3대 목적은 1)생물다양성 보전 2)그 구성요소의 지속가능한 이용 3)생물유전자원 관련 이익의 공평한 공유 입니다.

# 생물다양성이 중요한 이유는?

잠깐 주변을 돌아 봅시다. 우리가 먹는 음식은 거의 100% 생물 유래이고, 의약품•화장품 등 실생활에서 필요한 많은 제품들은 이들의 추출물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있습니다. 직접 이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물과 공기 등 우리 주변을 구성하는 환경 요소는 복잡한 생태계의 사슬에서 정화되어 우리에게 제공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생물다양성이 줄어드는 것은 인류의 생존과 건강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가 인식을 하든, 하지 못하든 인류 대부분의 삶이 생물다양성에 근간을 두고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여섯 번째 대멸종(엘리자베스 콜버트 저)

유엔 환경프로그램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생물종은 1,400만종으로 추정되고 이 중 약 175만종(13퍼센트)이 확인되었지만 서식지 감소, 기후변화 등으로 생물종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하루 평균 136 종의 생물들이 사라지고 있는 데요. 공룡이 멸종한 이후 제6의 멸종 가능성이 논의 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유엔의 제3차 생물다양성 전망보고서(GBO-3, 2010년)에 따르면 자연환경 파괴로 인한 생물종 감소는 자연상태보다 1천배 이상 빨리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인류의 생존과 연관되어 있다고 볼 때 아이폰의 신제품 출시보다 더 중요하지만 이러한 현상을 인지하고 살아가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자연 생태계가 복잡한 연결고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인식하지 못하고 있지만 이러한 연결고리가 하나 둘씩 없어져 버린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 사례로 이해하는 생태계 다양성

@ 순천만자연생태공원
다양한 생태환경중 생물다양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곳이 습지입니다. 하지만 농경지 확장, 제방건설, 갯벌매립 등으로 습지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50% 이상의 습지가 소실되고 있습니다. 습지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하며 인간에게 유용한 환경자원이라는 인식하에 습지에 관한 국제협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습지의 보호와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국제 조약인 람사르 협약(1971)이 체결되었습니다. 한국의 람사르 등록 습지는 총 19개, 183.135㎢ 규모입니다. 국내 유일의 고층습원인 대암산용 늪은 희귀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습지로 1997년 첫 번째로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습니다.

이러한 생태계의 가치를 경제적 가치로 잘 활용한 사례가 국내에서는 바로 순천만자연생태공원과 순천만정원입니다. 하구 정비 및 개발을 이유로 없어질 뻔한 순천만 습지는 이제 습지보호지역 명소로 한해 300만명이 몰려 1,000억원이 넘는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순천은 자연 생태의 가치를 보호함으로써 오히려 경제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순천만자연생태공워&순천만정원


@ 바나나도 사라진다?
바나나가 곧 사라질 수도 있는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바나나는 약 400여종이지만 현재 우리가 먹는 바나나는 단 1종(캐번디시)입니다. 유전적 다양성이 사라져 그만큼 환경 적응성이 떨어집니다. 야생 바나나는 크고 딱딱한 씨가 가득해 식용으로 먹기 힘든데요. 때문에 씨가 없는 돌연변이 한 품종만이 대량재배 되어져 왔습니다.

1950년대까지 '그로 미셀'이라는 바나나의 한 품종이 재배되었습니다. 하지만 바나나의 암이라고 불리는 파나마병이 창궐하면서 바나나 농장은 집단 폐사하는 바나나를 지켜 볼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후 파나마병에 내성이 있는 '캐번디시'가 재배되고 있는데요. 1980년대 변종된 파나마병으로 인해 '캐번디시' 마저 다시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현재까지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아 바나나의 멸종을 지켜볼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바나나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농작물의 경우도 종 다양성이 감소하여 특정 환경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바나나 전염병에 걸린 바나나 나무 / 자료 출처 : 지식채널e


# 왜 생물다양성이 감소할까?

@ 멸종 동식물에 대한 이해 부족
모든 생물종은 현재 각자의 역할을 생태계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필요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죠. 하지만 주로 인간에 의한 환경 변화에 따라 생물종들은 각각 다른 위험 정도에 처하게 됩니다. 이러한 위험 정도를 7단계로 구분하여 iucnredlist.org에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에서는CITES(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와 국내법에서 정한 멸종 동식물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IUCNRed List에서 정한 멸종 위험에 처한 생물종인지도 체크해 대처하고 있습니다.

사이트에 들어가 확인하지 않는 이상 우리의 삶에서는 어떤 생물종이 얼만큼의 위험정도에 노출되었는지를 인식을 할 수가 없습니다. 아는 만큼 느끼고, 보는 만큼 성장 할 수 있다는 말이 절로 생각이 납니다. 따라서 생물다양성 전문가들의 글이나 책, 이러한 사이트들을 통해 생물다양성 변화에 대한 학습이 필요합니다.

@ 도로의 발달
도로의 발달은 야생동물의 서식처를 지리적 파편화(geographical fragmentation)합니다. 야생동물이 살던 지역을 사람이 임의로 나누어 놓기 때문인데요. 이러한 경우 로드킬로 죽어가는 야생동물이 빈번히 발생할 수밖에 없고 특정 지역에서의 생물다양성은 급격히 감소하게 됩니다. 도로의 면적이 넓지는 않아도 지역을 나누어 놓기 때문에 야생동물의 이동 통로가 막히고, 먹이 사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것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고자 고속도로나 고속화 도로에 야생동물 이동통로를 설치해 운영 중입니다. 그 효과가 미약하겠지만, 이러한 배려가 점점 더 많아 졌으면 합니다.

@ 무분별한 포획과 채취
지난 7월 아프리카 짐바브웨 국민사자 세실이 미국인 치과의사의 '트로피 사냥꾼(기념품 삼으려고 야생동물을 죽이는 사냥꾼)'의 취미를 만족시켜 주기위해 희생되었습니다. 그리고 연이어 8월 미국인 여성이 기린 사냥을 한후 SNS에 사진을 올려 이슈가 되었습니다. 아프리카에서는 동물들의 개체수가 점점 더 줄고 있고, 우리가 보는 동물들을 수십 년 후에는 더 이상 못볼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이제는 이러한 트로피 사냥이 합법적이라고 할지라도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다른 생명을 빼앗는 일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기를 바랍니다.
  • 미국인 회계사 여성의 트로피 사냥 / 자료 출처 : 뉴스1


@ 열대우림의 파괴
화장품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원료 중에 하나인 팜유는 대부분이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늘어가는 팜유에 대한 수요를 맞추기 위해 생물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열대우림을 파괴하여 거대한 팜 농장을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오랑우탄으로 대표되는 동식물은 서식처를 잃고 죽어가야만 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팜유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유니레버는 국제적인 환경보호단체 그린피스에 의해 비난을 받았고, 이로 인해 2014년 유니레버 측은 열대우림 파괴를 하지 않은 인증되고 추적이 가능한 공급원으로부터 구매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러쉬에서는 '오랑우탄과 지구를 살리는 작은 실천'이라는 팜오일프리 캠페인을 벌이며 팜 프리 베이스로 대체된 성분의 비누를 생산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 유니레버 공장에 잠입한 그린피스 / 자료 출처 : 뷰티누리


# 국립 생태원

국내에도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곳이 많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제가 소개해 드리고싶은 곳은 바로 국립 생태원입니다. 자사 프리메라 브랜드와도 많은 인연이 있는 최재천 교수님이 원장으로 계신 이곳은 기초 생태 연구, 보존, 복원 및 국민에게 생태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생태를 체험하기 좋은 곳이니 시간을 내어 방문해 보길 추천 드립니다.
  • 국립생태원(http://www.nie.re.kr)


# Love Song to the Earth

세계적 아티스트 폴 매카트니, 존 본 조비, 존 생크스, 래퍼 숀 폴 등 12명이 함께 지구 보호를 위해 노래를 만들었습니다. '지구에 전하는 사랑의 노래'(Love Song to the Earth)이라는 제목을 가진 이 노래는 모든 것이 환경적으로 괜찮을 것 이라며 눈감아 버리는 우리에게 '당신이 지구의 주인이라면 지구를 돌봐야 한다'는 점을 일깨워 줍니다. 노래에서 계속 반복되어 나오는 'Keep it Safe'라는 가사가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데요. 사우 여러분도 한번 들어보세요^^
  • Love Song To The Earth-official Lyric Video_Youtube.com


# Don't Forget!

모든 생물종은 존재할 권리와 가치를 지닙니다. 인간도 자연과 상호 의존적입니다. 함께 살아가야 아름다운 세상이 만들어 집니다. 우리 주변에서 실천 가능한 작은 일부터 시작해 보면 어떨까요?

1. 멸종동식물로 만들어진 제품을 구입하지 않는다.
(상아, 모피, 산호, 철갑상어 이용 제품 등)
2. 생물다양성 관련 환경보전 단체 (NGO)에 가입 및 후원한다.
3. 자가용 보다는 대중 교통을 이용한다.
4. 서식지내 보존이 어렵다면, 화분, 화단, 정원 가꾸기 등으로 보존에 동참한다.
5. 외래종은 서식지 파괴의 큰 원인이다. 취미로 기르다가 야생에 방사하지 말자.
6.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책, 기사 등을 읽고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에 대해 학습한다.

  • 좋아해

    10
  • 추천해

    0
  • 칭찬해

    0
  • 응원해

    0
  • 후속기사 강추

    0
TOP

Follow us:

FB TW 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