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혜의 자연, 제주와 진정성으로 만든 명차,
오설록이 전하는 제주와 차밭의 이야기 칼럼입니다
칼럼니스트아모레퍼시픽 오설록 BM팀 이범진 님
제주의 감귤꽃
오설록 귤꽃향을 품은 우잣담
귤림추색 : 귤밭의 가을색
* 귤림추색 : 조선시대 제주의 시인 매계(梅溪) 이한우 님이 선정한 제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광 10경인 영주십경(瀛州十景) 중 하나로, 귤 밭의 가을색을 표현
제주 한남차밭의 위치
처음 차나무를 심은 한남차밭(좌) / 현재의 한남차밭 모습(우)
한남차밭에서 바라본 한라산의 모습
차 재배를 위한 제주 자연의 5대 요소와 한남차밭의 특징
1. 한남의 흙 – 화산이 만든 검은 흙
제주의 지층 분포도(제주 구조운동사, 윤선 님 外, J. Geol. Soc. Korea, v.50, no.4, p457-474, 2014)
제주 흙의 특징
차밭 주요 토양통의 유기물 함량(%)
한남 차밭의 토양 분포도
한남차밭 주요 토양의 유기물 함량 및 CEC
한남차밭 토양의 색
2. 한남의 바람이 만들어내는 비
4~5월 돌송이차밭과 한남차밭의 풍향/
풍속 비교
한라산에 의한 제주 차밭의 기상현상
제주 지역별 연간 강수량(mm)
3.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설계된 오설록의 지혜
홍차재배의 가능성 – 농학회지 창간호
(허인옥 님, 제주대학농학회, 1964)
한남차밭의 차나무 품종 분포도
찻잎을 상처내고 시들리는 위조(withering) 공정
4. 한남차밭 대표 제품
오설록 우전 이미지 사진
발효차 특유의 맛과 향을 만들어내는 위조과정 중 찻잎의 변화
삼다연 청(淸), 후(厚) 제품(좌) / 우려낸 수색(우)
오설록 차밭의 주요 특성 비교
2009~2016 연도별 녹차 제품의 아미노산 함량(%) vs. 생산일자
좋아해
22추천해
0칭찬해
0응원해
0후속기사 강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