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화. 폭풍전야, 인공지능의 시작 - AMORE STORIES
#Cathy Zhang 님
2017.05.24
8 LIKE
485 VIEW
  • 메일 공유
  • https://stories.amorepacific.com/%ec%a0%9c2%ed%99%94-%ed%8f%ad%ed%92%8d%ec%a0%84%ec%95%bc-%ec%9d%b8%ea%b3%b5%ec%a7%80%eb%8a%a5%ec%9d%98-%ec%8b%9c%ec%9e%91

제2화. 폭풍전야, 인공지능의 시작

아모레퍼시픽 사우들이 직접 작성한 칼럼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칼럼니스트Cathy Zhang (张婷婷) 님
APC Purchasing Team


# 머리말 : 가까워진 열차

 '인공지능' 하면 여러분 모두 작년 3월에 열린 한국의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 알파고(AlphaGo), 1:4로 마무리된 인간 대 로봇의 바둑 대결을 가장 먼저 떠올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인공지능은 게임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지난 8월에는 IBM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왓슨(Watson)'이 방대한 양의 논문 내용을 습득해 진단하기 어려운 희귀한 백혈병 종류를 찾아냈고, 치료법까지 제안하여 60세 여성 환자의 회복을 도왔습니다. 또한, 왓슨은 일찍이 미국의 한 퀴즈쇼에서 인간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적도 있습니다.

 현재 인공지능은 법률 사무소 업무 영역까지 분야를 넓혀 변호사의 일을 돕고 있습니다. 심지어 인공지능은 창의성을 필요로 하는 음악계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소니(Sony)는 1997년부터 첨단 음악 기술을 연구하기 시작해 작년에는 인공지능 최초로 두 곡을 작곡했습니다. 첫 번째 곡은 비틀즈 스타일의 'Daddy's Car' 라는 곡이었고, 두 번째는 재즈 느낌이 나는 'The Ballad of Mr. Shadow' 라는 곡입니다. 두 곡 모두 좋은 평가를 받고 있고, 소니는 올해 인공지능이 만든 음반을 정식 발표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 인공지능의 시작

 인공지능 활용의 예를 하나 더 말씀드리자면, 비행기 조종사는 이•착륙시 가장 중요한 10분 정도만 조종할 뿐 그 외 시간은 전부 인공지능에게 맡기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는 작은 인공지능 칩 하나가 언제 차를 멈춰야 하는지, 언제 브레이크를 밟아야 하는지 인간보다 훨씬 더 정확하게 체크하고 있답니다.

# 인공지능 연구 추세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몇 차례 일었던 인공지능 붐으로 인해 인공지능 기술은 우리 생활 깊숙이 파고들었습니다. 인공지능은 사회를 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전 연구에서는 스마트 시스템에만 집중을 했다면 이제는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사람의 지능처럼 믿고 쓸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지난 10년간 인공지능 기술이 큰 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3대 과학기술의 혁신 즉, '신경 회로망',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 '빅데이터' 덕분이었고, 이를 결합한 연구를 통해 비약적인 발전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이들 중 첫 번째로 '신경 회로망'은 사람의 대뇌 역할을 합니다. 과학 분야에서 관련 연구를 진행한 지는 50년이 넘었으며 현재는 캐나다에서 기존 시뮬레이션 과정을 합치는 시도를 하고 있고, 이를 통해 대규모 산출 결과를 낼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사실 이러한 혁신은 이미 10년 전부터 '딥 러닝(Deep Learning)'이란 이름으로 시작되어 왔습니다.
  • 신경망

 두 번째 혁신은 'GPU 적용'입니다. 10년 전, 인공지능은 슈퍼 컴퓨터를 통해서만 작동이 가능했는데, 그 이유는 슈퍼 컴퓨터만이 대량의 병렬 연산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게임 업계 종사자들은 아주 작은 사이즈의 칩인 GPU를 활용하면 인공지능 연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GPU는 현재 바이두(Baidu), 구글(Google) 등 글로벌 기업이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분야이며, GPU활용을 통해 하드웨어에 드는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금난을 겪고 있는 벤처기업들도 기회를 얻게 됐습니다.

 그 다음은 '빅데이터'입니다. 알파고는 대량의 게임 데이터 베이스와 딥 러닝, 그리고 뛰어난 산출 능력을 통해 여러 명의 세계 챔피언을 이겼습니다. 구글, 바이두, 알리바바(Alibaba), 페이스북(Facebook) 등 글로벌 주요 기업은 빅데이터, 신경 회로망, GPU 세 가지 기술을 응용해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빅데이터는 다른 기술과 융합 활용할 때 막대한 효과를 내기 때문에 향후 글로벌 기업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자산이 될 것입니다.
  • 빅데이터

 세 가지 주요 기술을 통해 이룬 인공지능 연구의 발전은 고무적이지만, 단일 기술을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지난해 말, 페이스북 CEO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는 새로 개발한 인공지능 비서 '자비스(Jarvis)'를 선보였습니다. 자비스는 대부분의 일을 잘 해내긴 했지만, 음성 인식 및 대화(Voice Interaction) 부분에선 다소 미흡했습니다. 이런 미완성 사례는 인공지능 개발에 있어 보완해야 할 부분을 보여줍니다. 하드웨어의 한계를 넘어야만 인공지능 활용 범위를 모든 산업으로 확대할 수 있고, 이로써 인공지능 기술의 가치를 제대로 발휘할 수 있습니다. 완성도 있는 음성 인식을 위해서는 '음성'과 '식별(identification)' 사이의 경계를 허물어야 합니다.

# 인공지능 응용 영역

 위에서 언급한 상용화된 기술을 기반으로 앞으로 계속해서 연구 및 응용을 이어 나가겠지만, 분야별 적용 방법을 차별화해야 합니다.

  1) 교통:교통은 인공지능 기술 적용 분야 중 가장 세심하게 접근해야 하는 분야입니다.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는 부분이기에 교통 분야의 인공지능은 대중의 신뢰와 함께 안전성 또한 인정받아야 합니다. 구글, 테슬라(Tesla) 등의 발전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자동화된 교통수단은 빠르게 대중화될 것이고 인공지능 시스템을 탑재한 교통수단은 사용자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 전형적인 무인자동차 시스템 의 형태

  2) 가정용 로봇:15년 전부터 다양한 로봇이 가정에 보급되어 왔습니다. 앞으로도 기계와 인공지능 기술이 함께 발전하면서 가정용 로봇의 안전성과 신뢰도를 높일 것입니다. 우리 일상 생활 곳곳에서 택배 배송, 사무실 청소, 보안 유지 등에 사용될 것입니다.
  • 가정용 로봇

 3) 의료 :의료는 인공지능 적용 분야 중 가장 유망한 분야로 손꼽혀 왔습니다. 주요 적용 사례는 임상시험에 대한 정책 지원, 환자 관리, 의술 지도, 외과수술이나 병간호 등의 자동화 설비, 의료 시스템 관리 등이 있습니다.

 인공지능 적용을 통해 머지 않아 수백만 명의 건강과 생활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겠지만, 이는 인공지능 기술의 안정성과 관련 정책 및 규정이 보장돼야 한다는 전제 조건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 의료 스마트화

 4) 교육 :교육 분야의 인공지능 사례를 살펴보면, 인공지능 기술이 얼마나 발전해왔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이나 대학 부속 시설에 인공지능이 적용되면서 대규모 맞춤형 교육이 크게 발전했습니다. 교육난을 겪고 있는 국가의 학생들에게 온라인 교육을 제공하는 등의 긍정적인 측면이 많습니다. 하지만 인성 교육처럼 소통이 중요한 부분을 대체하기는 어렵고, 오프라인 교육 시스템과 어떻게 조화를 이뤄낼지에 대해서는 계속 생각해봐야 합니다.
  • 스마트 교육

 5) 공공 안전 및 보안 유지:해당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지는 약 10년 정도 됐습니다. 잠재적 범죄를 감시할 수 있는 CCTV, 드론 카메라, 범죄 현장 조사 등 미래 공공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입니다. 하지만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장단점은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대중의 신뢰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6) 엔터테인먼트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엔터테인먼트를 즐깁니다. 위챗(WeChat),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미디어에서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내고, 온라인 게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rld of Warcraft)'를 통해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으며, 아마존 킨들(Amazon Kindle)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단순 터치로 모든 책을 볼 수 있게 됐습니다.

 인터넷의 발전이 몰고 온 변화는 차세대 인공지능 응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동향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인공지능을 적용할 때 중요한 정보가 됩니다. 예를 들어, 이미 개발한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를 인구통계학적으로 세밀하게 분석하고 사용기록을 바탕으로 각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영화, 음악 등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

# 맺음말

 세계적인 과학 기술 칼럼니스트 케빈 켈리(Kevin Kelly)가 이야기했던 것처럼, 향후 20년간 사회 변화의 속도는 굉장히 빠를 것이며,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지금은 인류가 창조와 혁신을 이루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순간입니다. 새로운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있고, 그 다음 산업혁명은 더 큰 영향력으로 사회를 변화시킬 것입니다. 폭풍우가 몰아치기 전에 울리는 천둥 소리에 비유한다면, 현 시점의 인공지능 발전은 멀리서 희미하게 들려오는 소리에 불과합니다. 우리는 아직 무한한 기회를 가지고 있으며, 오늘 역시 인공지능 역사의 첫째 날에 불과하다는 말로 이번 칼럼을 마칩니다.

  • 좋아해

    8
  • 추천해

    0
  • 칭찬해

    0
  • 응원해

    0
  • 후속기사 강추

    0
TOP

Follow us:

FB TW 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