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자 장원 서성환 님의 일대기를 담은 평전
'나는 다시 태어나도 화장품이다'에 담긴 이야기를 10회에 걸쳐 요약해 소개합니다.
제2화. 조선의 청년, 해방둥이 기업
개성 최초의 '김재현 백화점'은 소비자, 제조자, 판매자 모두에게 선망의 대상이었던 고급 물건이 그득했던 현대식 백화점이었습니다. 도매상들을 통해 '창성당 제품'도 그곳에서 판매되기 시작했습니다. 꿈같은 일이었습니다. 백화점에서 판매된다는 건 품질로 승부할 수 있다는 방증이었기 때문이었죠.
그러던 중 어머니 윤독정 여사는 서성환 님에게 직접 백화점 판매를 해보라고 권유했습니다. 백화점에 진열된 고급스럽고 세련된 상품과 포장, 앞선 품질의 제품에 대한 경외감을 느끼며 서성환 님도 직접 판매의 길을 모색하느라 동분서주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김재현 백화점 화장품 부에 직접 코너를 개설하게 되었습니다. 어머니께서 늘 강조하시던 품질의 승리를 확인한 최초의 성과였습니다. 노력과 실력으로 소망을 성취한다는 교훈과 더불어 서성환 님에게 일에 대한 보람과 일상의 즐거움이 주는 행복은 더 말할 나위가 없는 기쁨이었습니다.
'아카가미(赤紙)'. 1944년부터 해방 전까지 붉은색 바탕의 종이에 적힌 징병 통지서를 사람들은 그렇게 불렀습니다. 힘없는 조국을 둔 조선 청년들은 징병이라는 어둠의 초대장을 받아 들고 참혹한 전쟁터로 향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1945년 1월, 날벼락 같은 징병통지서를 들고 떠나는 청년 일행 속에 서성환 님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막 백화점 진출로 사업을 키워보려던 서성환 님의 작은 꿈도 전쟁의 두려움, 죽음의 공포 앞에서 그저 공허한 연기처럼 참담하게 흩어져 버렸습니다.
북만주의 황량하고 너른 들에서 겨울 동안 혹독한 훈련을 받은 조선의 젊은이들은 자기와는 무관한 남의 전쟁을 위해 끝이 보이지 않는 어둠의 터널 속에서 삶과 죽음을 마주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그들이 전쟁의 고통을 뼈저리게 절감할 즈음 일본의 항복 소식이 들렸습니다.
1945년 9월 5일. 서성환 님은 베이징에서 현지 제대를 하고 진정한 자유인이 되었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의 창립 기념일이 9월 5일이라는 사실만 봐도 서성환 님이 얼마나 진정으로 자유를 갈구하고 귀향을 애타게 고대했는지 설명할 필요조차 없을 것입니다.
서성환 님은 일단 고향으로 갈 형편이 될 때까지 베이징에 임시 거처를 마련했습니다. 그때, 서성환 님은 '장사를 해볼까'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고향으로 갈 때까지 시간과 비용을 만들어 버텨보자는 마음에서였습니다. 서성환 님은 제대할 때 받은 쌀 일부를 팔아 염색약을 사서 군복을 염색한 후 비싼 값으로 되팔아 남긴 돈으로 장사 밑천을 마련했습니다.
그렇게 연명하던 서성환 님은 자금성 남쪽에 있는 '다자란'이라는 큰 시장을 알게 되었습니다. 세상 진귀한 것이 다 모여있는 듯 각양각색의 물건과 중국인들의 극성스러운 상혼의 장에서 서성환 님은 정신을 빼앗겼습니다. 궁핍한 삶의 막다른 골목에서 만난 새로운 세상이 훗날 시장을 창조해가는 기업가의 길을 걷게 되는 서성환 님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지는 익히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운명이란 이처럼 우연과 필연이 씨줄과 날줄처럼 교차하는 것, 어느 한 순간도 우리가 버려야 할 시간은 없을 지도 모를 일입니다.
1946년 2월 21일. 인천항에 도착한 서성환 님은 밤바다보다 더 어둡고 몹쓸 꿈과 같았던 징병이라는 무거운 짐을 비로소 내려놓을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