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화. 음식점 메뉴판에도 문화가 있다! - AMORE STORIES
#태미령 님
2016.04.15
12 LIKE
592 VIEW
  • 메일 공유
  • https://stories.amorepacific.com/%ec%a0%9c2%ed%99%94-%ec%9d%8c%ec%8b%9d%ec%a0%90-%eb%a9%94%eb%89%b4%ed%8c%90%ec%97%90%eb%8f%84-%eb%ac%b8%ed%99%94%ea%b0%80-%ec%9e%88%eb%8b%a4

제2화. 음식점 메뉴판에도 문화가 있다!

Columnist
4기

아모레퍼시픽그룹 사우들이 직접 작성한 칼럼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문화적 장벽을 넘어서'

제2화. 음식점 메뉴판에도 문화가 있다!

칼럼니스트
아모레퍼시픽 스킨케어연구1팀 태미령 님

'중국' 하면 음식을 빼놓을 수 없겠죠?
중국 사람들은 세계 3대 요리 왕국으로써 음식 문화에 대한 자부심도 큽니다.

혹시 만한전석(滿漢全席)이라는 이름 들어보셨나요? 중국의 가장 대표적인 궁중 상차림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은데요. 음식 가짓수가 남쪽 음식 54가지, 북쪽 음식 54가지로 전체 108가지의 음식으로 구성됩니다. 워낙 요리 가짓수가 많아 3일에 나눠서 먹는다고 하는데요. 엄청나죠? 만한전석은 중국 청나라 시기에 한족과 만족의 합일을 기원하며 생겨난 상차림으로 두 민족의 대표적인 맛과 특징적인 조리법을 모두 담아 현재까지도 중국 음식 문화의 최고 경지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이처럼 중국은 워낙 땅이 넓어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어 풍부한 식재료를 얻을 수 있는 자연 조건을 갖고 있습니다. 또 56개의 서로 다른 문화 배경을 가진 민족들이 뭉쳐있는 나라이다 보니 조리법, 식습관 또한 아주 다양하답니다. 어릴 적 누군가 매일 다른 종류의 음식을 먹어도 한평생 중국의 모든 요리를 다 먹어볼 수 없다고 했던 말이 기억나네요.
  • (좌)만한전석(滿漢全席) 상차림의 모습, (우) 중국 56개 민족


그럼 중국 음식에는 과연 어떤 문화가 숨겨져 있을까요?

# 재미 있는 요리명

간혹 중국에 처음 가는 분들 중 저한테 "중국 어디를 가든지 실패하지 않는 요리 몇 개만 추천해주세요!"라고 질문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실 이 질문을 받을 때 대략 난감해요.

한국은 '비빔밥'하면 전주나 서울이나 사실 약간의 손맛 차이는 있을 수 있겠지만, 어딜 가나 거의 비슷합니다. 중국은 탕수육으로 많이 알려진 동북지역의 대표적인 음식 꿔보러우(锅包肉), 사천 샤브샤브인 쓰촨훠궈(四川火锅)와 같이 전국 어디를 가든지 비슷한 조리법으로 같은 이름을 가진 대표적인 음식들도 물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그 지역 특징이나 음식점의 개성을 살려 새로운 이름을 짓는 경우도 많고, 같은 이름과 같은 재료이지만 전혀 다른 조리법으로 요리를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 꿔보러우(锅包肉)

  • 쓰촨훠궈(四川火锅)


예를 들면, 북방에서는 훈툰(馄饨)이라고 부르는 음식이 사천에서는 챠소우(抄手), 광동에서는 윈툰(云吞), 산동에서는 구둬(馉饳)라고 불립니다
  • 훈툰(馄饨)

  • 쓰시완즈(四喜丸子)


그럼, 중국의 문화와 재미 있는 이야기가 담긴 요리 몇 가지를 소개해드릴게요!

** 쓰시완즈(四喜丸子)

하남지역 한족들의 전통적인 음식으로 네 개의 커다란 고기 완자입니다. 복, 재물, 장수, 행운의 네 가지 좋은 것을 담았다는 의미를 갖고 있어요. 축하를 하는 잔칫상에 많이 올리는 음식입니다. 하지만 이 음식이 처음 만들어 질 때 아주 재미있는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중국 청나라 시기에 백성들을 괴롭히고, 악독하기로 유명한 자희태후(慈禧太后)가 전쟁으로 도망을 가던 중 하남 일대를 지나갈 때 지방 관리가 이 음식을 올리면서 축복의 메시지와 함께 아부를 떨어 자희태후의 큰 환심을 샀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음식을 만든 똑똑한 요리사는 사실 백성들을 괴롭히는 자희태후를 저주하는 마음에 츠씨완즈(慈禧完止-자희태후 끝장나라)와 발음이 유사한 쓰시완즈(四喜丸子)를 만들어 올린 것이었습니다.

** 챠이웬군군(财源滚滚)

챠이웬(财源)은 재물, 군군(滚滚)은 구른다는 뜻입니다. 즉 '재물이 굴러들어오라'는 뜻인데요. 음식점마다 모양이나 사용하는 식재료가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그림에서처럼 잘 구를 수 있는 동그란 모양에 겉에는 노란색 깨를 많이 묻혀 마치 황금이 듬뿍 묻어 있는 듯한 모양을 낸 디저트입니다. 뭔가 먹고 나면 로또라도 당첨될 듯 하죠?

** 커우수이지(口水鸡)

침닭입니다. 입에서 흐르는 침 맞습니다. 이름이 좀 이상하죠? 이 요리는 사천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훠궈에도 많이 들어가는 입안을 얼얼하게 마비할 것 같은 중국 후추, 마죠우(麻椒)를 엄청 많이 넣어 만든 요리입니다. 한입만 먹어도 입에서 침이 계속 흘러내린다고 해서 침닭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사천에 가면 꼭 한번 맛보시길 바랍니다.

** 룽쉬면(龙须面)

음력 2월 2일 "용이 머리를 드는 날"에 먹는 북방 전통 음식입니다. 명나라 때 황제의 수라상에 올려져 가늘고 긴 면발이 마치 용의 수염 같다고 해서 용의 수염 면, 룽쉬면(龙须面)이란 이름이 지어지게 되었답니다.

영화 "호빗"처럼 서양에서는 용을 악의 우두머리로 여기지만 중국에서 용은 아주 신성한 존재이고, 과거에는 황제의 몸에 용의 피가 흐른다고 여겼습니다. 중국인은 용의 후손이라는 표현도 있습니다.

# 작명의 달인, 중국

이쯤 되면 중국 사람들이 이름을 얼마나 중요시 여기는지 느껴지시죠? 중국 사람들은 5,000년의 역사와 그 역사로부터 탄생한 한자에 대한 자부심이 아주 강합니다. 이 특성을 잘 알고 있는 외국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할 때 브랜드나 기업명을 영문 그대로가 아닌 멋진 뜻을 담은 한자로 작명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중 코카콜라가 항상 일등으로 꼽히는데요. 코카콜라가 중국에서는 커커우커러(可口可乐)라고 불립니다. 앞 두자 커커우(可口)는 아주 맛있다라는 의미이고, 뒤에 커러(可乐)는 즐거울 수 있다는 뜻입니다. 코카콜라를 마시면 맛도 좋고 기분도 좋아진다는 뜻으로, 브랜드가 추구하는 핵심 가치를 단 네 글자로 그것도 아주 쉬운 글자들로 고객들의 마음속에 콕 하고 새겼습니다.

중국에서는 또 발음이 같거나 비슷한 한자를 바꿔 사용하면서 여러 가지 의미를 부여하는 작명법도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의 경쟁사 중 중국 로컬 기업인 'MARUBI'라는 브랜드명은 중국어로 완메이(丸美)입니다. 처음 이 브랜드를 접했을 때 '왜 저 완(丸)자를 썼을까'라는 의문을 가지게 됐습니다. 왜냐하면 발음이 똑같은 완벽하다는 뜻을 가지 완메이(完美) 이 단어를 그대로 사용해도 되었거든요. 그 이유를 찾아보니 둥글다를 의미하는 완(丸)자를 사용함으로써 브랜드가 추구하고자 하는 둥근 원처럼, 튀어나온 부분 없이 모든 것이 조화를 이루는 완벽한 제품을 선사하겠다는 가치를 나타내기 위함이었습니다. 글자 하나가 바뀌었을 뿐인데 브랜드가 한층 업그레이드된 느낌이죠?

# 2화를 마치며…

중국어를 공부하는 분들이 대게 한자가 너무 많고 어렵다고 말하십니다. 반복해서 써보고, 외우는 것도 좋지만 특별히 어렵다고 느끼는 한자에 대해서는 오늘 이야기를 들은 내용처럼 한자에 담긴 이야기를 읽어 보면 조금이나마 기억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다음 칼럼에서도 중국의 문화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아해

    12
  • 추천해

    0
  • 칭찬해

    0
  • 응원해

    0
  • 후속기사 강추

    0
TOP

Follow us:

FB TW 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