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화. 더 나은 고객경험을 위한 2018 UI/UX TREND - AMORE STORIES
#Digital
2018.02.21
8 LIKE
763 VIEW
  • 메일 공유
  • https://stories.amorepacific.com/%ec%a0%9c16%ed%99%94-%eb%8d%94-%eb%82%98%ec%9d%80-%ea%b3%a0%ea%b0%9d%ea%b2%bd%ed%97%98%ec%9d%84-%ec%9c%84%ed%95%9c-2018

제16화. 더 나은 고객경험을 위한 2018 UI/UX TREND

칼럼니스트이지혜 님
아모레퍼시픽 디지털 정보혁신팀


 우리는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을 무엇보다 중요시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특히 웹과 모바일 트렌드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시장 환경에 따라 UI/UX의 개편 주기가 매우 짧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칼럼에서는 올해 디지털 경험이 어떻게 발전할지 예상하고 그에 맞는 UI/UX 트렌드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지난 2017년에는 플랫 디자인과 애니메이션, 마이크로인터랙션, 대화형 인터페이스(챗봇), 카드 UI 등 소비자의 몰입을 유도할 수 있는 요소들이 주류였다면, 올해는 AI, 딥 러닝 등 새로운 기술에 따른 UI/UX 트렌드들이 두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첫 번째로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VUI)' 트렌드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1.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 VUI)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 이하 VUI)의 부상은 '화면이 없는' 디자인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기본적으로 사용자와 기기 사이의 물리적 터치 수를 줄여줍니다. 가트너(Gartner)는 2018년 기술과의 인터랙션 중 30%가 VUI와 대화를 통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미 애플의 시리(Siri), 아마존의 알렉사(Alexa), 구글의 OK Google, MS의 코르타나(Cortana) 같은 기능을 통한 VUI의 인기로 일상생활에서 보이스 인터랙션 기능의 기술이 사용자의 경험을 신속하고 단순하게 만들어주고 있는 만큼 머지않아 기존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GUI)의 대안이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 아마존 : Alexa / 네이버 : Clova / 애플 : Siri


2. Content-Focused Experiences

 웹상에 다양한 콘텐츠가 생산되고 그것을 소비하는 사용자도 증가하면서 콘텐츠를 보다 쉽고 편하게 소비할 수 있는 UI/UX가 발전하는 추세입니다. 명확한 시각적 계층 구조와 함께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더욱 명확하고 보다 집약적인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모션, 사운드, 일러스트레이션처럼 콘텐츠의 주목도를 높이고,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 Instagram Renewal

  • Medium / Mashable


3. More Personalization

 빅 데이터 기반 머신 러닝 분야의 발전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찾아주거나, 개인 맞춤형 서비스 등 천편일률적인 경험에서 벗어나 유저의 필요와 욕구에 맞춰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문의나 요구 사항에 대응할 수 있는 챗봇을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 결과 완전히 새로운 수준의 개인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서비스와 사용자 간의 신뢰를 구축하고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며 브랜드 충성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스타벅스 : 위치 정보를 이용한 개인화 프로모션 / 넷플릭스 : 빅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서비스


4. 쉽고 빠른 인증 절차

 서비스 전반에 걸쳐 간단하고 직관적인 UI/UX 제공이 중요해지면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가 회원 가입이나 로그인 과정을 단순화하고, SNS 계정 연동으로 대체하며 인증 절차를 간소화하고 있습니다. 간편한 인증을 위해, 많은 서비스가 비밀번호 사용에서 인증 코드로 바뀔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문 인식이나 얼굴(Face) ID 등의 생체 인증 프로세스 기술은 안전성과 함께 이러한 목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받으며 보편화될 전망이며, 기존의 GUI의 대안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이베이 : 임시 비밀번호 제공 / 아이폰X : Face ID 로그인 기능 / 아이폰 : Touch ID 로그인 기능


5. More attention to Typography

 SEO와 웹 접근성 등의 이슈로 폰트 사용뿐만 아니라 페이지 내의 콘텐츠가 많아질수록 정보 탐색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있어 헤드라인과 서브타이틀, 언더라인 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빠르게 화면을 스크롤하는 모바일 환경에서는 콘텐츠 스캐닝을 도와주는 명확한 컬러와 타이포그래피가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정보의 계층도(hierarchy)에 맞춰 텍스트 스타일에 차이를 주거나, 인용구/주요 내용, 요약 글 등을 본문 안에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UI 디자인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6. 개성 있는 그리드 시스템

 모던하고 심플한 그리드는 정돈된 느낌을 주며 정보 탐색의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 페이지 구성의 사이트나 마이크로사이트, 서브페이지 등의 경우 예외적으로 레이아웃을 보다 유연하고 매력적으로 만들어 심미적으로 전달할 필요성이 있고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개성 있는 그리드 시스템을 사용한 사이트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 adidas UK / Chanel


7. 3D Graphics

 AR이나 VR 콘텐츠의 확산으로 3D 이미지가 사용자들에게 익숙해지며 실제 물체를 표현하거나 독창적인 예술 작품을 표현할 때도 3D 요소가 사용되는 경향을 볼 수 있습니다. 2018년 증강 현실의 발전이 UX의 주요 추세 중 하나가 되면서 3D 이미지도 주류로 자리 잡게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 Marina Bay Sands - X'mas Comes Alive / AUDI : Q-riosity


8. 사용성을 높이는 감각적인 인터랙션

 태스크 수행이나 화면 전환 시 감성을 자극하는 마이크로인터랙션을 적절히 사용할 경우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특히 챗봇이나 음성 인식 기술을 사용한 CUI(Conversational User Interface) 기반의 서비스가 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인터랙션 과정 전반에 걸쳐 보다 감성적이고 디테일한 피드백 제공이 필요한데 이때 간단한 제스처와 비주얼 피드백을 합친다면 서비스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것입니다.

마치며

 모바일 기기의 보편화와 함께 수많은 기술들이 발전하며 사용자의 요구 또한 점점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수년 전까지는 디자인이 잘된, 심미적으로 뛰어난 서비스 환경이 사용자의 경험을 만족시켰을 수도 있지만, 이제는 단순히 심미적 가치를 디자인하는 것을 넘어 사용성과 유용성을 고민하고 개선하며 나아가 사용자에게 좋은 브랜드경험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최우선으로 고민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빠른 기술 발전과 트렌드를 이해한 서비스만이 다양해지는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며, 2018년 UI/UX 트렌드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위 내용이 온라인 서비스에 대해 고민하는 사우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번 칼럼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이미지 출처 :
https://www.istockphoto.com/kr
http://create.bang-olufsen.com/create/project/re-create
http://inspiredesign.me/2017/02/10/mdls-website-design/
http://create.bang-olufsen.com/create/project/re-create
https://www.behance.net/gallery/59201983/Marina-Bay-Sands-Xmas-Comes-Alive
https://medium.com/thinking-design/10-ux-design-predictions-for-2018-54bebb8d9767
https://www.behance.net/gallery/60066623/AUDI-Q-riosity

  • 좋아해

    8
  • 추천해

    0
  • 칭찬해

    0
  • 응원해

    0
  • 후속기사 강추

    0
TOP

Follow us:

FB TW 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