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화. Test & Learn(가설검증)을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 - AMORE STORIES
#특별 칼럼
2016.05.24
12 LIKE
325 VIEW
  • 메일 공유
  • https://stories.amorepacific.com/%ec%a0%9c1%ed%99%94-test-amp-learn%ea%b0%80%ec%84%a4

제1화. Test & Learn(가설검증)을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

Test &
Learn Best
Practice

Test & Learn(가설검증)에 대한 개념과 우수 사례를 소개하는 칼럼입니다


제1화. Test & Learn(가설검증)을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

아모레퍼시픽 고객전략팀

# 칼럼을 시작하며…

2015년 전사적으로 Test & Learn이 처음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올해 2회째의 과제들이 계열사와 Division 단위로 준비, 시작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Test & Learn이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그 궁금증을 풀어드리기 위해 가설검증의 개념과 실제 진행 사례들을 칼럼을 통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 Test & Learn (가설검증) 이란?

우선, 단어를 그대로 해석하면 '테스트 하고 배운다.'입니다. 가설검증이란 그 뜻 그대로 입니다.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하고, 실험 결과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는 것인데요. 혹시, 수학시간에 배운 함수의 기본 공식… 기억 하시나요?
Y = F(x)
함수의 변수 X값에 따른 결과 Y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설검증의 방법론도 함수 공식 안에 다 있습니다. 변화를 준 x1과 변화를 주지 않은 x2를 두고 다른 조건은 다 동일하게 설정합니다. 그리고 결과값 Y1과 Y2를 측정하여 어떤 x변수가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는지를 검증하는 방식입니다. 더 자세한 Test & Learn의 방법론은 다음 편에 사례를 통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가설검증'은 자연과학에 있어서 일반적인 방식입니다. 예를 들면, '중력파'를 검증한 실험이 2015년 9월 14일에 진행되었습니다. 큰 물리적 변화로 시공간의 왜곡이 발생한다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의 가설을 실제로 증명한 사건인데요. 13억년 전 두 블랙홀의 충돌이 지구의 3천 킬로미터 떨어진 두 관측소에서 탐지되었습니다. 도달하는 시간 차(0.007초) 데이터를 분석하여 중력파를 직접 검증한 '가설검증' 사례였습니다.
이런 자연과학의 사례뿐만 아니라 '가설검증'은 우리의 일상 속에도 얼마든지 있습니다. 어떤 의사결정을 하고 행하기 이전에 우리는 모두 결과를 생각하고 움직입니다. 즉, 결과를 예상하고 가설을 세우는 거죠. 다만 삶을 다시 되돌릴 수 없기에 결정에 대한 대조군 인생을 설정하진 못합니다.

우리의 결정이 나쁜 결과를 이끌었다면 추후 같은 상황에서 다른 결정을 함으로써 배워나가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또 다시 아인슈타인에게로 돌아가면 그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어제와 똑같이 살면서 또 다른 미래를 기대하는 것은 정신병 초기 증상이다.' 우리는 정신병 초기 증상 환자가 아니기에 인생의 가설검증이라는 시행착오를 통해 배워나가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 시행착오를 업무에서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 Test & Learn을 실행하는 것이죠.

# Why ? '가설검증' ?

그렇다면 왜 가설검증을 실행할까요? 지난해 가설검증이 진행되었을 때 '귀찮게 왜 하는 거야?'란 반응을 보인 분들을 봤습니다. 분명히 가설검증을 진행하는 것은 귀찮습니다. 왜 귀찮을까요? 업무에 어느 정도 전문성이 생기면 일명 '촉'이란 것이 생기죠. 그래서 똥'인지 '된장'인지 먹어봐야 알 수 있는 과제들이 있습니다. 한편으론 이런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고, 해 보신 분들도 분명 계실 겁니다. '옛날에 다~해봤어! 안 돼!' 그러나 정말 제대로 했다면 어떤 영향으로, 어느 정도의 결과를, 왜 그런지… 라는 문제를 명확히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입니다.

What? How? Why? '가설검증'은 이 'Why'를 찾아가는 과정에 대한 실험으로 '옛날에 해본 것' 그리고 '새로운 시도'를 데이터의 분석에 기반하여 증명하는 방법입니다. 또한 실험/대조군의 실험을 하여 시행착오를 통해 지연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입니다. 어떤 변수가 우리의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인지를 파악하고, 대조군과의 차이를 통해 얼마나 더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내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고객에게 광고성 문자를 보낸다면 고객의 이름을 표기한 'XXX 고객님' & 그냥 '고객님'으로 보내는 것. 김춘수 시인의 '꽃'이란 시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의 시 구처럼 고객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더 좋은 결과가 나올꺼라고 누구나 생각할 것입니다. 고객의 이름(실험군)/ 그냥 고객(대조군)으로 나누어 한번에 빠르게 실험하고 과연 좋다면 얼마나 좋은지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우리들은 데이터가 모든 것을 말해주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회사의 모든 활동들이 데이터화되어 데이터를 통해 검증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습니다. 실험경영으로 유명한 회사들로 구글, 아마존 등이 있습니다. 구글에서는 메인 화면의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바의 길이마저도 실험한다고 합니다.

세상의 변화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중심의 세상에서 디지털의 세계로 변화하였고, '응? 돼지털?'이라고 반문하는 삼성의 광고가 얼마 전 같은데 인공지능이 이세돌 9단을 이기고 있는 세상입니다. 세상의 변화만큼이나 아모레퍼시픽도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 중심에서 글로벌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고,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회사는 빠르게 변하고 있는데, 우리의 업무방식이 변하는 속도가 그를 따라가는지 반추해보시기 바랍니다. 우리의 의사결정의 방식과 업무 속도의 개선이라는 이슈가 Test & Learn를 실행하는 'Why' 입니다.

# AP의 TEST & LEARN은?

2015년은 가설검증이란 무엇인지를 알리는 해였다면, 2016년은 '가설을 통해 업무를 실행하고 검증하여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해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해 입니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아모레퍼시픽의 Test & Learn이 지향하는 바입니다,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의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지난해에 이어 2016년 Test & Learn을 전사적으로 실행하는 이유입니다.

# 2016년 TEST & LEARN 실행과제들

아래 표에는 2016년 29개의 과제가 정리되어 있습니다. 과제를 실행하는 담당자분들을 만나신다면 응원해주시고, 많은 관심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BU DIVISION 검증 요소
럭셔리 설화수 쿠션 고객대상 브랜드 경험 강화의 Lock-in 효과성 검증
헤라 컨텐츠 variation에 따른 효과성 검증
AP&프리메라 디지털 채널을 통한 샘플링 참여 고객의 SNS 리타게팅 효과성 검증
VB 시니어 고객대상 카운셀링 도구(디지털 컨텐츠/지류) 효과성
방판 디지털경험 관여도 수준에 따른 고객 구매 영향 검증
백화점 포인트 사용경험과 고객 리텐션의 상관관계 검증
프리 미엄 마몽드 요우커 대상 VMD효과성 검증(모델/상품 베네핏)
아이오페&한율 신상품의 매장 고객경험 고도화 효과성 검증
라네즈 매장 파매사원의 비카운셀링 요소의 판매 영향도 검증
아리따움 매장 고객 직접 체험 경험 제공의 효과성
마트 신규고객 리타게팅 캠페인 효과성 증대방안
MASS 해피바스&메디안 기능별 상품 구성의 시너지 검증
려&미장센 중국 & 국내 헤어케어 고객 구매의 로컬 특성을 고려한 VMD 검증
유통 마케팅 컨텐츠 속성별 효과성(브랜드 아이텐터티&트렌디 컨텐츠)
에이전트 고가상품의 디지털기기활용 카운셀링방식의 효과성
신성장 디지털 커머스사이트의 상품 스토리를 통한 Identity 강화의 효과성
리리코스 개인별 상품추천을 통한 포인트 교환
TR 중국 포털 광고 최적화
직속 오설록 오프라인 구매 시점 & 디지털 채널 유입의 연관성 검증
계열사 아모스 거래처대상 포괄적 서비스 제공과 매출 연관성 검증
에뛰드 APP 이용 고객의 특성 파악
에스쁘아 오프라인 고객의 디지털 채널 유도 및 효과적 혜택의 검증
에스트라 거래처 대상 신상품 사전홍보의 효과성 검증
이니스프리 고객 참여형 컨텐츠의 고객 리텐션 증대 검증
마케팅 전략 unit 고객전략(상담팀) 적극적 자사 행사 참여고객의 로열티 증대 효과 검증
고객전략 디지털 고객행동기반 타케팅의 효과성
고객전략 고객 고관여 매체를 통한 효과성 검증
고객전략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 검증
고객전략 상품 추천 유형에 따른 2차구매 효과성 검증
이번 편에 Test & Learn의 개념과 취지를 설명해 드렸습니다. 다음 편에는 2015년 실행했던 과제 사례와 타사의 사례를 통해 좀 더 깊게 Test & Learn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좋아해

    12
  • 추천해

    0
  • 칭찬해

    0
  • 응원해

    0
  • 후속기사 강추

    0
TOP

Follow us:

FB TW 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