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화. 스파와 에스테틱 분류 - AMORE STORIES
#김민숙 님
2017.03.16
7 LIKE
1,681 VIEW
  • 메일 공유
  • https://stories.amorepacific.com/%ec%a0%9c1%ed%99%94-%ec%8a%a4%ed%8c%8c%ec%99%80-%ec%97%90%ec%8a%a4%ed%85%8c%ed%8b%b1-%eb%b6%84%eb%a5%98

제1화. 스파와 에스테틱 분류

아모레퍼시픽그룹 사우들이 직접 작성한 칼럼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칼럼니스트아모레퍼시픽 설화수 SEM팀 김민숙 님


  안녕하세요~ 설화수 SEM팀 김민숙입니다. 회사에서 보면 사우 한분 한분 각자의 전문 분야가 있는 것 같습니다. 다양한 사우 분들과 미팅을 할 때면 '아, 저분이 알고 있는 분야도 정말 흥미롭다.'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혹시 '내 업무에 대해서도 그런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있지 않을까?'라는 마음에서 스파 관련 정보를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미용법 개발 업무를 하면서 우연한 기회에 국내/국제 자격증을 취득하고 스파 업무를 한지 10년 차가 됐습니다. 가벼운 정보 공유 차원의 글이라 생각해 주시고, 혹여나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살짝 말씀해 주셔도 좋습니다.

스파와 에스테틱

 국제 스파 협회(ISPA: International Spa Association)에 따르면 '스파'란 몸, 마음, 정신에 걸쳐 균형된 건강을 되찾기 위한 다양하고 전문적인 솔루션을 의미합니다. 스파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벨기에 리에주주의 온천으로 유명한 도시에서 비롯됐다는 설과 프랑스어 '건강에 좋은 물(Sante Per Aqua)'의 앞 글자에서 나왔다는 설이 있는데요. 본래는 물을 이용한 건강 증진 및 질병 치료를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최근에는 그 의미가 마사지를 포함한 미용 분야까지 확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에스테틱은 스파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에스테틱의 사전적 의미는 피부 미용 전문가에게 마사지, 마스크 등 피부 관리를 받아 아름다운 피부를 가꾸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피부는 전신에 해당하고 스파와 에스테틱의 큰 차이를 보자면, 물 혹은 장비를 이용한 시설을 갖추고 전신 피부 트리트먼트(마사지)를 하는 곳과 물을 이용한 시설 없이 순수 트리트먼트만 하는 곳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물을 이용한 시설은 하이드로 배스(Hydro Bath, 욕조 형태로 거품을 만들거나 물 세기로 피부와 근육을 케어하는 장비), 비쉬 샤워(Vichy Shower, 베드 형태로 몸에 물을 뿌리면서 케어하는 장비), 족욕기, 미스트 샤워, 건초를 이용한 습식 베드,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물안개 연출 등을 말하는데요. 아래 이미지만 보셔도 '휴가 가고 싶다.', '저기서 관리받고 싶다.'는 생각을 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스파 분류

 한국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피부 관리 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60대의 여성들이 한 달에 1~2번은 스파, 에스테틱, 피부 관리실에 방문하여 평균 약 50만 원의 비용을 지출한다는 자료가 있습니다. 나를 위해 투자하는 것이 자연스러워지고 다양한 컨셉을 가진 스파가 생기다 보니, 한 곳만 체험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스파를 체험하고 마음에 드는 컨셉과 시설, 나와 잘 맞는 테라피스트를 찾아 고정적인 트리트먼트를 받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 고객층의 투자가 활발하고 여성뿐만이 아닌 남성 고객도 이런 추세를 따라가고 있습니다. 실제로 중년 남성 3명이 스파에 방문해 1회에 40만 원에 달하는 전신 트리트먼트를 받는 것을 보고 남성분들 또한 자신을 위한 투자가 활발하다는 점을 알게 됐고, 남성을 주요 대상으로 짧은 시간 안에 끝나는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 스파 종류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로케이션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요. '호텔&리조트형 스파'라고 하여 리조트 혹은 호텔 내에 입점하고 있어, 피트니스 센터(사우나, 스파/온천, 간단한 케이터링, 피트니스 장비) 시설을 이용한 후 트리트먼트를 받는 형태가 있습니다. 호텔 투숙객의 경우 트리트먼트 비용만 내고 나머지 시설을 이용할 수 있고, 투숙객이 아닌 경우 약 $20~50의 비용을 내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호텔에 입점해 있지만 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거나 미니 사우나 정도를 가지고 있어 추가 비용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곳들도 많고, 파우더룸을 갖추고 있어 스파가 끝나면 리터칭 서비스까지 포함하는 곳도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일명 '시티형 스파'라고 불리는 일반 로드샵의 스파들은 살롱 형태(헤어, 메이크업, 네일, 스파)이거나, 물을 이용한 장비(주로 하이드로 배스)와 특수 마스크, 전문 테크닉을 활용한 곳들입니다. 회원과 비회원에 따라 VAT가 별도로 붙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외 스파 혹은 에스테틱 샵들은 개인이 운영하는 피부 관리실 개념이거나 병원 내에 샵인샵(Shop in Shop) 형태로 시술/수술 후 재생 관리 개념의 피부 트리트먼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Luxury vs. Mass', 'Artificial vs. Nature'의 컨셉으로도 구분이 가능합니다. 브랜드 관점에서 쉽게 비교하면 겔랑(Guerlain)스파 vs 러쉬(Lush)스파로 럭셔리 브랜드군에 있으면서 호텔에 입점해 있는 스파와 자연주의를 표방하면서 로드샵에 있는 스파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메디컬 스파과 약손명가와 같은 곳도 부연 설명이 없이도 분명한 차이를 느낄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여기까지 스파에 관한 전반적인 소개를 마쳤는데요. 많은 분이 제 칼럼을 통해 조금이나마 좋은 정보를 얻어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화에서는 더 재미있는 정보를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다음 화에서 만나요!

  • 좋아해

    6
  • 추천해

    0
  • 칭찬해

    1
  • 응원해

    0
  • 후속기사 강추

    0
TOP

Follow us:

FB TW 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