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화. 성큼 다가온 드론 상용화 시대 - AMORE STORIES
#Cathy Zhang 님
2018.02.07
7 LIKE
673 VIEW
  • 메일 공유
  • https://stories.amorepacific.com/%ec%a0%9c-6%ed%99%94-%ec%84%b1%ed%81%bc-%eb%8b%a4%ea%b0%80%ec%98%a8-%eb%93%9c%eb%a1%a0-%ec%83%81%ec%9a%a9%ed%99%94-%ec%8b%9c%eb%8c%80

제 6화. 성큼 다가온 드론 상용화 시대

칼럼니스트Cathy Zhang (张婷婷) 님
APC Purchasing Team


1. 들어가면서

 영국 공영언론 BBC는 지난해 8월, 영국 최신 항공모함 'HMS 퀸 엘리자베스(Queen Elizabeth)'의 드론 관련 사건을 보도했습니다. 한 아마추어 사진작가가 스코틀랜드 최북단 군항 인버고든(Invergordon)에 정박 중이던 항공모함을 촬영하기 위해 소형 드론을 띄웠는데, 순간 거센 바람이 몰아치면서 자동으로 갑판에 착륙했으나 항공모함 내부에서 이를 바로 알아챈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2015년에는 미국 백악관 건물에 드론이 충돌해 미국 사회가 발칵 뒤집어진 사건이 있었고, 드론을 악용해 테러를 시도하는 테러리스트도 존재합니다.

 물론 부정적인 사례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최근 다양한 업계에서 드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인 예로 페이스북(Facebook)은 '아퀼라(Aquila)'라는 드론을 사용해 전 세계에 광대역 인터넷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아마존, 월마트, 알리바바 등 글로벌 기업들은 드론 택배 상용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항공모함에 착륙한 소형 드론

 드론이 처음 등장했을 때 시장 반응은 생각만큼 뜨겁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최근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한 드론의 인기 요인이 무엇인지 궁금해집니다. 향후 드론 기술은 반짝하고 사라질까요? 아니면 더 힘차게 발전해 갈까요?

2. 드론 업계 발전 동향

 기업 전문 웹사이트 매터마크(Mattermark)에서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한 해 동안 미국 105개 드론 스타트업에 투자된 금액은 총 3억 6800만 달러에 달합니다. 그중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인 상위 9위 기업은 아래 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2위에 이름을 올린 릴리 로봇틱스(Lily Robotics)는 2016년 상반기 동안 놀라운 성장세를 보였지만 이듬해 제품 출시가 여러 차례 지연되며 큰 위기를 맞았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다른 업계에 비교해 유독 적은 직원 수인데요. 효율적인 시스템과 높은 생산성을 갖추고 있을 것으로 짐작되는 부분입니다.

업체명 기업 웹사이트 성장 점수 직원 수(명) 총 투자 금액 본사 위치
3D Robotics http://3drobotics.com 1387 144 $99,000,000 미국 버클리
Lily Robotics http://lily.camera 1012 8 $1,000,000 미국 샌프란시스코
Skycatch http://skycath.com 655 72 $16,500,000 미국 샌프란시스코
Ehang http://ghost-drone.com 504 12 $10,000,000 중국 광저우
Airware http://airware.com 485 91 $40,420,000 미국 로스앤젤레스
Skyware http://skyware.com 422 29 $5,632,000 미국 포틀랜드
DroneDeploy http://dronedeploy.com 317 11 $11,000,000 미국 샌프란시스코
CyPhy Works http://cyphyworks.com 294 21 $9,950,000 미국 보스턴
Skydio http://skyd.io 253 6 $3,000,000 미국 레드우드시티
 중국의 경우 Ewatt, MMC, TT Aviation, China RS, Sunward 등 산업용 드론 제조기업과 DJI, Xaircraft, Ehang, Zerotech 등 소비자용 드론 제조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습니다. 내실 또한 튼튼한데요. 주로 군수업체 산하 기업으로 막강한 자본과 시장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여러분이 더 관심을 가지실 법한 소비자용 드론 분야의 상위 5개 기업은 아래 표와 같으며, 자본 주체는 벤처투자기업, 인터넷 기업, 통신설비 기업 등으로 매우 다양합니다.

업체명 기업 웹사이트 직원 수(명) 총 투자 금액 본사 위치
DJI http://www.dji.com/cn >500 $75,000,000 중국 선전
Xaircraft http://www.xaircraft.cn/ —— $20,000,000 중국 베이징
Ehang http://www.ehang.com ≈100 $10,000,000 중국 광저우
Zerotech http://www.zerouav.com —— ¥10,000,000 중국 베이징
Power Vision http://powervisions.com.cn >100 ¥38,000,000 중국 베이징
 그중에서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DJI에 대해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2006년 중국 선전에 설립한 DJI의 첫 시작은 헬리콥터형 드론 비행 제어 장치(FC, Flight Controller)였습니다. 2010년부터는 소비자 시장으로 눈을 돌려 소비자용 헬리콥터형 드론 FC와 다축 헬리콥터형 드론 FC를 연달아 개발했고, 2013년 쿼드콥터형 '팬텀(Phantom)' 시리즈를 출시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습니다. DJI의 매출액은 2010년 300만 위안에서 2014년 30억 위안으로 껑충 뛰어올라 지금은 전 세계 드론 시장의 50~7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 DJI 드론 제품


3. 드론의 인기 요인

 드론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전쟁은 날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으며 일반 소비자들의 드론에 대한 관심 또한 늘고 있는데요. 인기 비결은 과연 무엇일까요?

 상업용 드론은 주로 데이터 수집에 사용되는 반면, 소비자용 드론은 촬영, 주변 탐색 등 취미 용도로 쓰입니다. 특히 소형 소비자용 드론 시장의 경우 디지털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호황기를 맞았습니다.

 DJI는 얼마 전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공개해 드론 유저 또는 관련 기업이 자유롭게 앱을 만들 수 있도록 해 주목을 받았는데요. DJI의 SDK를 활용하면 카메라 및 짐벌 기술, 비행 시스템 구축, 지능형 비행 기술 및 제어 기술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사용 편의성은 물론 소비자 경험을 강화하는 동시에 디지털 기술 융합과 관련해 DJI가 지닌 잠재적인 기술 발전 가능성을 성공적으로 어필하는 효과를 낳았습니다.

 이커머스가 점차 활발해지고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매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드론 제조기업 역시 온라인 채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SNS를 활용한 제품 마케팅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고요. 따라서 향후 직관적인 뷰를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과 직접 체험이 가능한 오프라인을 합한 시너지 효과를 노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소형 드론으로 촬영한 익스트림 스포츠나 자연 풍경을 담은 영상을 본 적 있으신가요? 전에는 볼 수 없던 새로운 시각을 선사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더더욱 드론 촬영 영상에 환호할 수밖에 없고 그만큼 앞으로 더 많은 곳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 드론 업계의 미래

 소비자용 드론은 주로 영상을 촬영하는 데 쓰이는 반면, 기업들은 상업용 드론을 활용해 물류 운송, 데이터 연동 서비스 또는 데이터 수집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대부분 실험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곧 상용화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되며, 드론 제조기업의 주요 수입원 역시 현재 제품 판매에서 데이터 제공 서비스로 옮겨 갈 것입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먼저 살펴보자면, 개발자 커뮤니티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소규모 그룹으로 활동하던 개발자들이 오픈 소스 커뮤니티를 통해 서로 협력할 기회를 얻게 될 것입니다.

 소프트웨어와 관련해서는 2014년 10월 리눅스(Linux) 기반의 협업 개발 및 발전을 지원하는 비영리단체인 리눅스 재단(Linux Foundation)이 12개 IT 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드론코드 프로젝트(Dronecode Project)'를 결성한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드론코드 프로젝트는 드론 운영시스템의 오픈소스를 활용해 공통의 플랫폼을 생성함으로써 관련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가속하는 것이 주된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의 경우 칩, 배터리, 센서 등의 부품 생산 프로세스가 지금보다 원활해진다면 크기는 더 작으면서도 효율성은 높은 스마트한 드론을 만나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IT 기업 퀄컴(Qualcomm)은 현재 새로운 드론 비행 제어용 칩을 개발하고 있는데요. 이 칩이 성공적으로 개발된다면 드론 제작이 매우 간편해질 것입니다. 하지만 이에 따른 가격 전쟁은 피할 수 없게 되겠죠. 따라서 미래에는 탄탄한 자본력과 우수한 비즈니스 모델, 특이한 소비자 경험을 갖춘 기업이 승자가 될 것입니다.
  • 인텔에서 선보인 드론 조명 쇼

 드론 활용과 관련해서 현재 가장 주목해야 할 키워드는 '기능 융합'입니다. 하지만 군사 기술에서 파생된 드론을 일반 소비자용으로 전환하려면 까다로운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아직 '현재 진행 중'에 불과합니다. 기능 융합의 예를 들자면 아마존의 드론 택배 서비스나 이라크 테러리스트가 드론을 개조해 만든 폭격기 모두 드론의 운반 기능을 활용한 것입니다. 물론 그 의도가 굉장히 다르긴 하지만요. 페이스북에서 설립한 'Connectivity Lab'의 경우 드론, 태양 에너지 항공기, 위성, 레이저 통신 등을 활용해 인터넷 접근이 취약한 도서 및 산간 오지 지역에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핀란드 IT 기업 노키아(Nokia)는 아랍에미리트 통신사 에티살랏(Etisalat)과 드론을 통신 네트워크 모니터링과 모바일 네트워크 기술 고도화에 응용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운영 측면에서 보면 다음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1) 교육 서비스 : 드론은 섬세한 조종 기술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드론 조종사 교육에 대한 잠재적인 수요가 높습니다.

2) 빅 데이터 제공 서비스 : 드론이 가진 주요 기능 중 하나는 바로 데이터 수집입니다. 향후 항공 데이터 수집 창구로서 클라우딩 컴퓨터 및 빅 데이터 활용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전문 비행 서비스 : 상업용 드론은 단가가 높고 관리하기도 어렵습니다. 조작 방법 역시 복잡하기 때문에 향후 각종 항공 이미지 촬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대거 출현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4)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 상업용 드론은 앞으로 훨씬 더 많은 업계에서 응용될 것입니다. 차별성을 갖추고자 한다면 고객 니즈에 따라 특이성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합니다.

5. 마치면서

 새로운 기회를 향한 도전에는 늘 시련이 따르게 마련입니다. 현재 드론 제조기업들이 직면한 도전과제로는 배터리 수명 개선, 지능형 비행 제어 시스템(IFCS, Intelligent Flight Control System), 드론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과감한 혁신을 막는 사회적, 정치적 장벽이 존재하고 있기도 하고요. 드론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나 안보 우려 역시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하지만 현재 드론 기술이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모습을 보면 앞으로도 더 많은 곳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 좋아해

    7
  • 추천해

    0
  • 칭찬해

    0
  • 응원해

    0
  • 후속기사 강추

    0
TOP

Follow us:

FB TW 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