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조어로 알아보는 중국 여성상의 변화 - AMORE STORIES
#2016 혜초
2016.11.21
8 LIKE
1,176 VIEW
  • 메일 공유
  • https://stories.amorepacific.com/%ec%8b%a0%ec%a1%b0%ec%96%b4%eb%a1%9c-%ec%95%8c%ec%95%84%eb%b3%b4%eb%8a%94-%ec%a4%91%ea%b5%ad-%ec%97%ac%ec%84%b1%ec%83%81%ec%9d%98-%eb%b3%80%ed%99%94

신조어로 알아보는 중국 여성상의 변화

혜초
칼럼

혜초들이 직접 작성한 칼럼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도시 혜초들이 들려주는 현지 이야기

신조어로 알아보는 중국 여성상의 변화

박주환 님
중국 샤먼

중국의 여성 경제력 및 사회지위 상승에 따라 여성소비를 중심으로 경제권 및 경제현상이 형성되고 있는데 중국에서는 이를 '타징지(她经济, 她: 여성을 지칭하는 대명사)'라고 합니다. '여성경제'라는 뜻으로 여성들의 경제적인 독립성 및 왕성한 소비욕구와 능력 상승으로 새로운 소비 시장이 형성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중국 여성소비 트렌드 자료를 보면 중국 여성의 수입이 가정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평균 비중은 이미 50%를 넘었으며, 가정소비의 75%가 여성의 결정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이처럼 중국 여성상의 변화는 통계 수치뿐만 아니라 언어 생활에도 엿볼 수 있습니다.

# 중국판 엄친딸 '바이푸메이(白富美)'

중국 친구들에게 좋아하는 여성상이 어떤지를 물어보면 우선 하는 대답은 바이푸메이(白富美)입니다. 한자 그대로 피부가 하얗고, 돈이 많고, 아름다운 여자를 말합니다. 이와 반대되는 말로는 아이추오치옹(矮挫穷)으로 키가 작고, 못생기고, 돈 없는 사람, 또는 투뻬이위앤(土肥圆)으로 못생기고, 뚱뚱하고, 둥글둥글한 사람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외모뿐만 아니라 경제력 또한 중요한 조건이라는 점입니다.
  • 바이푸메이 vs 아이추오치옹, 투뻬이위앤
    (※ 참고로 킹카를 의미하는 단어는 까오푸솨이(糕富帅)라고 하는데 키가 크고, 돈이 많고, 잘생겨야 합니다)
    이미지 출처 : 영화 <미녀는 괴로워>


# 순수하거나 혹은 바보거나 '샤바이티앤(傻白甜)'

반면 경제력과 상관없이 나름 순수한(?) 여성을 표현하는 말도 있는데 바로 샤바이티앤(傻白甜)입니다. 사전상에는 사랑밖에 모르는 순수한 사람, 혹은 능력은 없어도 얼굴이 예뻐서 귀여운 사람이라고 하는데 중국 친구에게 물어보니 우리나라에서 흔히 말하는 '백치미에 마음이 여린 사람'이라고 합니다.
  • 비운의 여주인공 역할만 맡는다고 해서 국민 샤바이티앤으로 불리는 여배우 탕옌(唐嫣)


# 강한 중국 여성 '뉘한즈(女汉子)'

원래 중국 한즈(汉子)라는 단어는 남자, 사나이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여기에 여자를 의미하는 뉘(女)를 붙여 뉘한즈(女汉子)라는 신조어가 탄생했는데 남자 같은 여자, 즉 여대장부를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많은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남자처럼 힘이 세다거나, 애교를 못 부리며, 털털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뉘한즈(女汉子)가 되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여성으로서의 독립'이라고 이해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뉘한즈(女汉子)를 가장 잘 표현하는 말로 중국 친구가 알려준 드라마의 대사를 보면 이해가 빠를 것 같네요.
  • 결혼은 싫지만 연애는 하고 싶은 연인들의 이야기, 드라마 "아이칭후이라이어(爱情回来了)"의 대사 중

    "남자의 눈에 모든 여자들이 말을 잘 들을 줄 아는데, 내가 보기에 여자 혼자서도 돈을 벌 수 있고, 청소할 수 있고, 밥도 할 수 있고, 싸울 수도 있고, 쇼핑할 수도 있어. 하지만 남자들은 아직도 여자들이 밥하고, 빨래하는 집안일만 해야 하는 줄 알지. 이제 질렸어."


# 중국 신세대 여성을 공략하기 위한 인사이트

중국의 신여성은 과거에 비해 자기애가 강하고, 외모, 이미지, 의류, 패션에 관심이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을 잘공략하기 위해 고려해볼 수 있는 사항으로는 여성에게 어필할 수 있는 디자인과 마케팅을 통한 충동구매 전략 수립, 알리바바 전자상거래의 매출의 70%가 여성에 의한 소비인 만큼 온라인을 통한 여성 교류공간 확대, 가성비를 넘어서 독특한 상품 및 질 좋은 서비스 개발, 그리고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3, 4선 도시 여성 맞춤 마케팅 전략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3,4선 도시 여성의 소비 특징
    출처 : 안신증권(安信證券)연구센터


# 칼럼을 마치며…

여성 지위 상승이라는 사회 현상은 비단 중국의 이야기만은 아닙니다. 이는 전세계적인 트렌드로서 관련 산업(화장품, 패션, 아동, 의류 등)의 재편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화장품의 경우 유로모니터의 통계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 중국 시장은 연 평균 10~12%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며, 2019년까지 시장규모는 5000억 위안(90조원)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중국 20~45세 연령대의 도시 여성인구 1억 1000만 명의 소비 트렌드를 주도하기 위한 위생 허가, 브랜드 관리 및 마케팅에 대한 사전 준비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좋아해

    8
  • 추천해

    0
  • 칭찬해

    0
  • 응원해

    0
  • 후속기사 강추

    0
TOP

Follow us:

FB TW 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