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윤수 님이 전하는 칠레 산티아고 이야기! - AMORE STORIES
2014.12.15
5 LIKE
312 VIEW
  • 메일 공유
  • https://stories.amorepacific.com/%ea%b0%95%ec%9c%a4%ec%88%98-%eb%8b%98%ec%9d%b4-%ec%a0%84%ed%95%98%eb%8a%94-%ec%b9%a0%eb%a0%88-%ec%82%b0%ed%8b%b0%ec%95%84%ea%b3%a0-%ec%9d%b4%ec%95%bc%ea%b8%b0

강윤수 님이 전하는 칠레 산티아고 이야기!

아모레퍼시픽그룹 '혜초'들의 현지 생활기를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지구 반대편, 그곳의 사람들이 사는 이야기


잊고 지내던 꿈을 다시 꺼내다
‘훌리오 이글레시아스’의 노래를 들으며 스페인어를 배우고 싶어하고, ‘마야, 잉카 문명 탐험기’라는 책을 읽으며 고고학자가 돼서 남미에 가보겠다고 생각했던 어린 저는 이미 사라진 지 오래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혜초” 모집 공고에서 칠레 산티아고를 보는 순간 잊고 지내던 꿈이 다시 살아났습니다. 그렇게 혜초 프로젝트에 지원을 했고, 현업 부서와 혜초 관계자 분들의 아낌없는 지원에 힘입어 지구 반대편, 그곳으로 30시간이 걸려 날아갔습니다.

혜초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이 이야기는 말 한마디 못하는 동양의 여자가 딱 12시간 차이 나는(현재 섬머타임 시행 중이라 12시간 차이가 나고, 해제되면 칠레는 한국보다 13시간 느립니다.) 지구 반대편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느끼며 살아갔던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잠들어 있는 이 시간에 활동하는 그들의 그냥 평범한 이야기,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1.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친해진 그들의 이야기
헉… 문이.. 잠겼어?

대문은 닫기만 하면 저절로 잠긴다는 사실을 모르던 정착 초기, 서너 발자국 거리에 있는 곳에 쓰레기를 버리러 간다는 것이 발단이 될 줄은 몰랐습니다. 일요일 저녁 7시경. 열쇠는 고사하고 핸드폰마저 없었던 그 때, 잠겨 버린 문 앞에서 속옷바람이 아닌 것을 감사해 할 정도였죠. 인사 정도의 스페인어만 겨우 할 줄 알던 그 때 눈 앞이 깜깜했습니다. 경비실로 내려갔지만 그 어느 열쇠기술자도 전화를 받지 않는다는 말만 돌아왔습니다. 난감해 하고 있던 제게 먼저 다가와 도움을 준 분은 같은 층에 사는 이웃 “호세 아저씨”. 사실 그 아저씨를 며칠 전에도 엘리베이터 안에서 만났었습니다. 반가워하며 상당히 자연스러운 영어로 자신은 중국의 큰 통신회사에서 일했었고 동양에 관심이 많다며 인사했지만 왠지 부담스러워 슬슬 피하던 때이기도 했습니다.

어쩔 수 없이 아저씨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아저씨는 기꺼이 친구들에게 일일이 전화해서 열쇠기술자를 섭외해 주고, 부인과 딸이 있는 자기 집에서 열쇠기술자가 올 때까지 약 2시간 이상을 머물 수 있게 해줬습니다. 그날 3살 된 딸이 심한 감기를 앓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뻘쭘하게 경비실 앞에 서 있던 제가 안쓰러워 보였나 봅니다. 아저씨 부인도 저를 너무 반가워했고, 3년간 캐나다에서 공부할 때 룸메이트가 한국인이었다며 한국인을 너무 좋아하고 김치를 좋아한다고 했습니다. 열쇠를 고치는 동안에도 곁을 지켜주던 아저씨… 무려 한화 10만원에 가까운 돈을 지불하고 열쇠를 새것으로 교체하고서야 제 집으로 들어올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호세 아저씨 가족과 저는 절친이 되었습니다. 그 후로 생활하면서 필요한 크고 작은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미리암 아줌마의 생일 잔치에도 불러 주었습니다. 그들이 있어 가슴이 따뜻합니다.

열쇠를 고친 그날, 집에 들어와서 호세 아저씨와 함께
크고 작은 행사에 잊지 않고 불러줬던 호세 아저씨, 미리암 아줌마, 그리고 까밀라까지
미리암 아줌마 생일날, 친구분들과 함께
너무 정겹게 안기던 까밀라

혹시... 레즈비언은 아니겠지?

운동도 하고 친구도 사귀고, 그들의 미용행태도 가까이에서 살펴보자는 심산으로 덜컥 헬스장에 1달 회원등록을 했습니다. 열심히 인사도 하고 운동은 했지만 생각보다 개인주의가 강한 칠레 사람들은 쉽게 마음 문을 열어주지 않았습니다. 태보와 요가반에 시간 맞춰 들어가서 운동하면서 또 열심히 아는 척을 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토요일, 예정된 시간보다 늦게 수업이 시작되는 바람에 먼저 온 회원님과 대화를 시도했습니다. 저는 정말 짧은 스페인어였고, 언니 역시 정말 짧은 영어를 구사했지만 서로 사진을 보여주며 금세 친해졌고 연락처를 주고 받았습니다.

저녁값을 지불해 주셨던
바로 그날~
언니가 제게 전화도 주고, 메신저도 주고 받으며 지내던 어느 날, 언니가 토요일 저녁을 먹자 하더군요. 그리고는 저녁 값을 지불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칠레는 철저하게 나눠서 내는 문화이고, 웬만해서는 저녁값을 내지 않는데 말입니다. 게다가 집으로 놀러 오라는 겁니다. 고맙고 반갑긴 한데, 뭔가 또 찜찜했습니다. 칠레에서는 한국보다 많은 동성애자들이 거리에서 애정행각을 벌이는 것이 예사였던 터라 슬그머니 머릿속에 ‘이 언니 레즈비언인가? 내가 레어 아이템이라서 탐내는 거 아냐?’라는 생각까지 들더군요. 물론, 그 언니는 레즈비언이 아니었습니다. SII(Servicio de Impuestos Internos)라고 우리나라로 치면 국세청에서 일하시는 회계사셨고, 세계 여러 곳으로 여행도 다니고 여동생이 일본 여행도 가 본적이 있어서 외국 사람에 대한 거부감이 적기 때문이랍니다. 그리고 아기 유산 이후 혼자 살게 되었다는 개인적이고 아픈 얘기도 해주었습니다.

버스로 20시간 거리에 살고 계시는 어머니와 오빠가 집에 왔다고 저를 초대해 같이 저녁 식사하며 2시간 넘게 대화도 하고 (이 때쯤엔 제가 좀 더 스페인어를 이해할 수 있어 다행이었습니다.) 제가 답례로 만들어간 비빔 국수를 얼굴이 빨갛게 되시면서도 연신 맛있다며 드셔주셨죠. 이렇게 또 한명의 절친이 생겼습니다.

과제 인터뷰에도 응해주시고, 밝게 웃어주시던 아드리아나 언니
아드리아나 언니의 오빠, 어머니와 함께, 그리고 맛있는 저녁도!

2. 독립기념일, 맘껏 즐기는 그들의 이야기

매년 9월 18일은 칠레의 독립기념일입니다. 일주일 가까이 쉬면서 먹고 마시고 즐깁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여행을 가기도 하지만 남아 있는 사람들은 함께 공원에 마련된 임시 공연장에서 로데오 경기를 구경하거나 전통 음식을 먹기도 합니다. 또한 학교에서는 그 즈음하여 발표회를 갖기도 하구요. 학급마다 전통 춤인 “꾸에까”를 연습해서 학부모들 앞에 보이고 함께 즐기는 것이지요. 저도 현지 분의 자제 분이 다니는 ‘켄트학교’에 초대받아 구경을 갔었는데, 칠레 와서 가장 흥미로운 순간 중 하나였습니다. 학생들의 풋풋한 전통 춤을 잠시 영상으로 보실까요?

독립기념일 주간에는 공원에 공연장과 먹을 것을 파는 장이 함께 열립니다. 잘 사는 동네가 더 볼 것도 많다는 말에 동료들이 열심히 검색해서 “비따꾸라”의 공원을 찾아갔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루고 있었고, 시간마다 다채로운 행사가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거의 밤 12시까지 계속되는 그 축제에서 로데오도 보고, 꼬치구이도 사먹었습니다.

켄트학교의 먹거리들
학교 행사에 돋보기 위한 페이스 페인팅
독립기념일 행사장에 전시된 먹음직스러운 바비큐
생전 처음 보는 진짜 로데오
퍼레이드를 기다리는 사람들
저녁엔 사관학교의 퍼레이드가 있다는 말에 “라스콘데스 시청” 앞에 가서 자리잡았습니다. 시작은 7시부터인데 행사가 잘 보이는 자리를 맡으려고 일찍 나온 사람들도 이미 꽉 차 있었습니다. 식전행사로 가수들이 전통노래도 부르고, 장관급 사람들도 속속들이 도착합니다. 한참을 기다려 시작한 퍼레이드에 칠레 사람들은 열광하여 열심히 사진과 동영상을 찍었습니다. 유럽느낌도 많이 나고 자부심도 대단해서 보는 재미가 쏠쏠했습니다.
퍼레이드 행진
퍼레이드를 기다리는 사관생도들

3. 대자연의 아름다움, 그곳과 어울리는 그들의 이야기

눈이 오지는 않지만 난방 시설이 잘 갖춰있지 않아 뼛속까지 시린 겨울이 어느덧 지나고 (칠레는 7, 8월이 겨울이고, 12, 1월이 여름입니다.) 여름으로 가는 길목에 다다랐습니다. 친하게 알고 지내던 몇몇 가족이 “마이포”라는 곳으로 나들이를 가자고 제안을 해왔습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서울에서 양평이나 춘천 정도로 가자는 거였지요. 흔쾌히 그들을 따라 나섰습니다. 정말로 맛있는 “아사도(Asado, 바비큐)”를 맛보는 것은 물론 함께 보물찾기도 하고, 산과 강 구경도 실컷 했습니다. (흙탕물이라 물놀이를 할 수 없던 것이 너무 아쉬었습니다.) 칠레의 자연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것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부족한 저의 사진 실력으로 그 아름다움을 다 담아내지 못하는 것이 더욱 안타까웠습니다.

칠레는 하루에 4끼를 먹습니다. 보통 아침 7시경에 아침을 먹고, 점심을 2시에 먹습니다. 점심과 저녁 사이에 약 6시경 “온세(Once)”라고 해서 빵과 차를 마시는 일종의 티 타임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녁은 밤 10시경 먹지요. 정말 현지인들과 함께 있으니 하루 종일 먹게 되더라구요. 신나게 먹으며 자연을 벗삼아 근심 없이 즐겁게 사는 모습이 참으로 정겨워 보였습니다.

칠레에서 ‘아사도’는 남자들이 만듭니다.
더운 날 환상적인 맛을 자아냈던 아사도의 두 주인공뒤에 고기 보이시죠?
호탕한 성격으로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어주셨던 파비올라 아저씨
같이 보물찾기를 하며 즐거워하던 소피
사진으로 담기에 너무 멋있었던 칠레 마이포의 산

다시 지구 반대편으로 돌아오며…

언어를 조금 하게 되면서 그들의 문화를 더 이해해서인지 혼자 오해하는 실수는 좀 줄어들었습니다. 처음에는 시간약속도 잘 지키지 않고, 와인만 좋아하고, 경제는 성장했지만 어떻게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줄 모르는 나라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이만큼 지나고 보니 이 모든 것이 이방인인 제 눈에서, 제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었던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빈부격차가 심하긴 하지만 나름대로 열심히 살아가며 낙천적인 그들의 소박한 모습을 지금은 선입견 없이 대합니다. 먼저 마음의 문을 열어주었던 제 절친들처럼 말입니다. 제가 그들을 친구로 기억하듯 이들에게도 제가 지구 반대편의 친구로 오래 기억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현업임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파견을 허락해 주셨던 현업 팀장님과 팀원들, 어릴 적 꿈틀거리던 꿈이 되살아 났다던 제 말을 믿고 스페인어를 하나도 못하는 저를 파견해 주신 혜초 관계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거대한 미(美)의 바다에 미약한 저희가 일으킨 최초(最初)의 물결은 작지만 “나비효과”처럼 거대한 파도와 강력한 해류가 되어서 돌아오기를 바라며, 감히 2014년 혜초 지역전문가를 대표해서 다시 한번 관계자 여러분과 지금까지 혜초의 이야기를 함께 해 주신 여러 사우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좋아해

    5
  • 추천해

    0
  • 칭찬해

    0
  • 응원해

    0
  • 후속기사 강추

    0
TOP

Follow us:

FB TW 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