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랄(Halal)과 하람(Haram) - AMORE STORIES
#2016 팀장혜초
2016.10.17
20 LIKE
1,397 VIEW
  • 메일 공유
  • https://stories.amorepacific.com/%ed%95%a0%eb%9e%84halal%ea%b3%bc-%ed%95%98%eb%9e%8charam

할랄(Halal)과 하람(Haram)

혜초
칼럼

혜초들이 직접 작성한 칼럼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팀장 혜초가 들려주는 현지 이야기

할랄(Halal)과 하람(Haram)

강명구 님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안녕하세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혜초 강명구입니다. 연중 내내 고온 다습한 열대우림 지역의 날씨를 보이고 있는 쿠알라룸푸르에 도착해 활동을 시작한지도 벌써 한 달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이번 칼럼은 무슬림에게 할랄(Halal)은 무엇이며, 이에 대한 규제가 무엇인지 현지 국가기관과 업계를 실제 방문하여 얻은 정보와 인사이트를 담아보고자 합니다.

1. 할랄(Halal) 과 하람(Haram)

'할랄'이라고 하면 돼지고기를 못 먹는 이슬람 음식문화 정도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 이외에도 할랄의 범위는 넓고 다양하게 규정, 요구되고 있습니다. 할랄(Halal)은 "신이 허락한"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이슬람 율법(Syariah Law)에 따라 허용되는 것과 허용하는 행위"를 통칭합니다. 이에 반해 하람(Haram)은 "이슬람 율법(Syariah Law)에 따라 알라가 절대적으로 금지한 것"으로 이것에 연루되거나 행하는 자에게 내세에서 그에 상응하는 알라의 벌을 받으며 현세에서도 그에 상응하는 벌을 받는다고 믿는다고 합니다.

무슬림들은 알라가 금기시한 죽은 고기와 피와 돼지고기, 또는 알라의 이름으로 정해진 방식으로 도살되지 않은 고기(소, 닭 포함), 그 외 먹거나 마셔서 해가 되는 모든 것들(술과 마약)을 "부정한 것들"이라는 뜻의 나지스(Najis)라 정하고, 이처럼 금기시한 것들을 사용하지 않고 이로부터 오염되지 않은 것을 할랄로 보고 있습니다. 돼지성분과 그 외 도축된 육류 등에서 유래된 성분의 원재료(예를 들어, 돼지고기의 부산물로 만들어진 콜라겐과 젤라틴) 또는 이로부터 교차 오염된 모든 것들을 부정한 것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슬람이 기독교, 불교와 더불어 세계 3대 종교 중 하나이고, 전 세계에는 인구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점차 구매력을 갖춘 이슬람권 소비자의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할랄시장이 주목 받고 있으며, 처음에는 식품산업에 국한되던 할랄산업이 점차 화장품, 의약품, 관광, 물류 등으로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2. 말레이시아의 할랄 인증 제도

전 세계의 무슬림 중에 60%인 약 10억의 무슬림 인구가 아시아에 살고 있고, 그 중에서도 인도네시아에 가장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고 합니다. 인구의 87%가 무슬림인만큼 단일 시장으로는 인도네시아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이지만, 말레이시아는 정부가 이슬람 관련 산업에 세계적인 주도권 획득과 할랄산업의 국제허브 역할을 목표로 국가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고는 만큼, 그리고 MUI라는 민간기관이 인증을 다루는 등 다른 이슬람국가 와는 다르게 정부 기관에서 할랄 인증을 직접 주관하는 나라입니다.

2012년 할랄법(HALAL ACT)을 제정하고, JAKIM이라는 국가인증기관, 또는 JAKIM이 인정한 세계 31개국의 57개 인증기관을 통해서 할랄 인증제도를 운영 중이며, 상당히 까다로운 인증 절차를 요구함으로써, 국제적인 인지도가 높다고 합니다.

지난주 SCM의 PE팀 협조를 받아 국가기관인 JAKIM을 직접 방문 할 수 있었고, 말레이시아 현지에서 요구되는 할랄인증을 위한 요구사항을 직접 듣고, 외국기업과 자국기업에게 요구하는 차이점을 듣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말레이시아 자국 내 외국 화장품기업의 설립과 할랄인증 요구사항의 국외/국내기업에 대한 구분 적용 등 별도의 상세기준이 명확하지 않아서 더 많은 질의와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느꼈고, 허용된 원료의 사용, 운영시스템의 상세기준, 무슬림의 채용(4인), 비 할랄제품과의 병행생산불가에 대한 기준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인도네시아 할랄제도와의 큰 차이점은 말레이시아의 할랄은 절차와 프로세스에, 인도네시아의 할랄제도는 원료자체에 보다 더 중요 포인트를 두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 (왼쪽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JAKIM 사 방문, JAKIM 사 조직도, JAKIM 사의 할랄 플래카드, SUPER 사 회의실

  • 말레이시아에서 인증되고 상품이나 매장에서 쓰여지고 있는 할랄 인증 마크

말레이시아의 할랄인증마크는 전 세계적으로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또 많은 국가가 말레이시아의 할랄 인증을 상호 인정하는 상황입니다. 할랄마크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팔각형의 별 모양 안에 있는 글자는 아랍어로 HALAL이라는 뜻입니다. 아마도 할랄의 국제화를 위해서 아랍어와 영어를 같이 표기하는 문양을 만든 것 같습니다.

또 같이 파견나온 동료들과 함께 말레이시아의 현지의 식품 / OEM화장품 / 원료회사에 방문하여, 직접 할랄 담당자로부터 말레이시아의 할랄마크와 인증제도에 대하여 듣고 제도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대부분의 말레이시아의 현지 회사에서는 중간 관리자층 이상이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이어서, 같은 말레이시아인이지만 무슬림이 아닌 관점에서 할랄 인증에 대하여 자세하고, 객관적인 이야기를 하는 편이었습니다. 가장 중요시되는 요소는 역시 허용되는 원자재만의 사용이며, 모든 원료의 입고에서부터 생산, 물류, 판매에 걸친 모든 과정에서 할랄제품과 비 할랄제품에 대한 완벽한 구분과 분리를 요구한다는 것입니다. 이곳들 또한 할랄상품을 만드는 곳이기에, 직원들이 먹는 구내식당에서도 할랄에서 허용하는 식품 외에는 어떠한 식품도 먹거나 마시는 것이 허용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 팜올레오 사 입구

  • 팜올레오 회의실

  • BIOCON 사

  • 인터코스사

  • SUPER 사 회의실

  • BICON 사 회의실


3. 식품과 화장품 산업의 할랄

한반도의 1.5배가 되는 면적과 13개주로 구성된 연방국가인 말레이시아의 인구 비율은 말레이계 62%, 중국계 22%, 인도계 7%, 그 외 기타국가에서 이주한 사람(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이 점유하고 있습니다. 말레이시아는 이렇게 국제적, 다종교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할랄식품 허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식품적인 면에서는 비 무슬림 사이에서도 성분, 안전, 위생등의 측면에서 안전한 제품으로 인정받아 할랄식품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물이나 콜라, 또는 맥도날드의 햄버거, 커피와 같은 가공식품에서 할랄인증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현지에서 쉽게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일부 소규모 매장에서 말레이시아 로컬 화장품사 외에 레블론사의 염모제에도 찍힌 할랄마크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배운 지식에 근거하여 확인해본다면, 인증마크의 형태로 봐서 말레이시아에서 받은 인증이 아니고, 미국의 인증기관에서 받은 할랄마크로 보여집니다.
  •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할랄 제품들


4. 현지에서 느낀 인사이트

발표된 말레이시아의 인구 비중을 보면, 중국계의 비율이 20%로, 말레이계 무슬림 60%에 비해 적은 비중이지만, 실제 소득수준 면에서는 대부분의 고소득층을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이 점유하고 있어서, 한 달간의 생활 속에서 보고 느낀 점은 소비의 형태가 크게 양분화 되어 나뉘어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패스트푸드나 각종 가공식품의 할랄인증 제품은 공통적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으나, 소득수준이 높은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은 식품 외의 할랄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있고, 말레이계 사람들이 사용하는 상품이라는 인식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말레이시아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식품뿐만 아니라 화장품과 같은 분야의 다양한 요구와 수요가 있을 것이고, 특히 말레이계는 오락문화가 발달하지 않아 주로 가족과 친구들과의 대화하면서 보내는 시간이 많고 입소문의 영향력이 다른 문화권에 비해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많은 이슬람 문화권의 국가들도 예를 들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그 외 중동의 여러 국가들마다 무슬림의 인구비율, 종파로 인한 무슬림 율법에 대한 성향차이, 개방된 젊은 소비자층의 증가 등 다양한 요소가 서로 다름으로써, 각 국가별 소비자의 할랄 상품에 대한 구매성향과 동향이 상이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중요한 것은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수입상품에 대한 국가정책이 할랄인증요구를 강화하고 있다는 점과 무슬림 소비자들의 종교적,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 젊은 무슬림들의 소비성향 변화에 대한 정확한 조사도 글로벌 시장전략과 마케팅 전략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좋아해

    20
  • 추천해

    0
  • 칭찬해

    0
  • 응원해

    0
  • 후속기사 강추

    0
TOP

Follow us:

FB TW IG